이에 더해 최근 정치권을 중심으로 한 ‘추경 증액’ 압박으로 국가채무가 증가할 수 있다는 기대가 형성될 경우 향후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
KDI는 이날 ‘2022년 2월 경제동향’을 통해 “최근 우리 경제는 완만한 경기 회복세가 유지되고 있으나 대외 부문을 중심으로 경기 불확실성이 높게 유지되는 모습”이라고 밝혔다.
오미크론 확산 등 지난달부터 코로나19 확산세가 가속화됐지만 기업심리지수는 비제조업을 중심으로 다소 개선되고, 소비자심리지수도 소폭 상승하는 등 내수 경기에 미친 부정적 영향이 제한적이라는 판단이다.
2월 제조업 업황BSI 전망은 93으로 지난달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다. 비제조업 전망은 85로, 지난달(81)보다 4포인트 올랐다.
공급망 차질 등 대외 요인으로 무역수지도 적자를 이어가고 있다. 무역수지는 지난해 12월 4억5000억달러 적자를 기록한 뒤 1월에는 사상 최대치인 48억9000억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두 달 연속 무역수지 적자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4년 만이다.
KDI는 “원자재가격을 중심으로 수입물가가 급등하며 무역수지가 적자를 기록하는 등 우리 경제 회복세를 제약하고 있다”며 “미국의 통화정책 정상화 가속화 기대가 확산하며 주가가 급락하는 등 금융시장도 불안한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고 밝혔다.
대내외 통화정책 긴축기조가 강화되면서 채권가격과 원화가치도 모두 하락하는 등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지난달 국고채 3년물 금리는 2.19%로 전월 말 대비 39bp(1bp=0.01%포인트) 상승했다.
최근 정치권을 중심으로 14조원 규모의 올해 첫 추가경정예산(추경)안 증액 압박이 이어지면서 3년물 국고채 금리가 2.3%를 돌파하는 등 국채 시장 약세 흐름이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은 “당장 추경뿐 아니라 앞으로도 국가채무가 늘 수 있다는 기대가 형성되기 시작하면 (불확실 요인으로) 반영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KDI는 이날 국내 경제전망 전문가 13명을 대상으로 한 경제전망 설문조사 결과도 발표했다. 국내 전문가들은 우리 경제가 올해 3.0%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정부 전망치(3.1%)보다 0.1%포인트 낮은 수치다. 전문가들은 또 2023년에는 경제성장률이 2.5%로 내려갈 것으로 전망했다.
수출은 증가세가 점차 둔화하며 올해 8.7%, 내년에는 7.0%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실업률은 3.5%를 기록하고 취업자 수가 30만명 정도 증가하는 등 고용시장 지표는 올해와 내년 모두 완만한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다.
지난달 기준 3.6%를 기록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상반기까지 3%를 상회한 뒤 4분기 이후에는 2% 내외로 낮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올해 연간 소비자물가는 2.7%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앞서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8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종합정책질의에서 “연간 (물가상승률을) 2.4% 선에서 막으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