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국토연구원은 장기주택종합계획을 연구하면서 보금자리 150만가구 목표치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있다. 또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최근 국토부의 요청을 받고 "150만가구 공급은 현실적으로 무리이며 120만가구 가량이 적절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국토연구원은 국토 및 주택 분야의 대표적인 국책연구기관이다. 국토부는 10년 주기로 작성하는 장기주택종합계획을 2년 앞당겨 오는 7월 수립할 예정이다.
연구원 관계자는 "인구 구조의 변화 등을 장기주택종합계획에 어떻게 반영할지 연구하고 있으며 보금자리 공급 목표치에 대해서도 한 분야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LH의 경우 과거 10년간 사업승인 물량이 아닌 착공 물량을 근거로 120만가구를 적정 목표로 판단했다. 목표치 150만가구는 연간 주택공급 필요량을 50만가구로 보고 통상 30% 가량을 공공에서 부담한다는 점을 감안해 연간 15만가구씩 10년간 공급한다는 것이었다.
이에 대해 국토부 관계자는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사항"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또 다른 관계자는 "150만가구라는 목표는 상수로 둬 변하지 않고, 연차별 공급계획은 조정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부동산 경기 침체와 LH의 자금난 등이 겹쳐 사실상 보금자리 150만가구 목표 달성은 어려워졌다는 게 중론이다.
하지만 실제 수도권 보금자리 공급 실적을 보면 2009년 10만3000가구, 2010년 12만8000가구 수준에 그치고 있다. 목표를 달성하려면 올해와 내년에 총 37만가구를 추가로 공급해야 한다는 계산이다. 현실성이 떨어진다. 당장 올해 사업물량도 국토부의 약속과는 동떨어진다. 국토부는 올해 공공주택 공급계획 21만가구 중 16만8000가구를 LH가 맡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현재 LH는 10만가구가 마지노선이라고 버티고 있으며 국토부는 최소 12만가구를 요구하고 있다. 국토부의 요구대로 관철된다하더라도 당초 계획과는 격차가 크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보금자리 공급 목표는 정치적으로 부풀려진 측면이 있다"면서 "정권 초기에는 부동산 가격이 오를 것이란 전망을 했을 수 있고 LH 재정난이 절박하게 불거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참여정부 때 국민임대 목표치가 150만가구였다는 점도 감안한 것 같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