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처럼 정부가 토지거래허가구역을 무더기로 해제한 것은 최근 토지시장 안정세가 지속돼 허가구역으로 지정하는 것 자체가 무의미해졌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실제 정부는 금융위기가 시작된 지난 2008년 말부터 지속적으로 토지거래허가구역을 해제했다. 2009년 1월 1만㎢ 가량을 해제한 데 이어 작년에도 전체 허가구역의 절반인 2408㎢를 풀었다. 하지만 땅값 상승률은 1% 내외 수준으로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편이었다.
부동산 전문가들도 정부의 이번 조치로 토지 거래 활성화로 당장 이어지기에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시장 침체로 과거처럼 대규모 개발 사업이 진행되기 어려운 데다, 허가구역에서 풀린다 해도 규제가 중복으로 적용된 지역이 많아 당장 땅값이 급등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설명이다.
함영진 부동산써브 팀장도 "과거에는 대규모 개발사업이 많아 땅값이 급등한 전례도 있었으나 최근에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도 막혀 개발수요도 줄었다"며 "당장 토지거래 활성화를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전망했다.
서울 접근성이 뛰어나고 도시 기반시설이 잘 갖춰져 있어 수혜지역으로 꼽히는 경기도 성남, 용인, 화성시 등 수도권 지역도 이번 조치에 따른 효과가 미미할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 허가구역에서 풀린 수원시 영통구는 농지지역이고, 파주운정3지구 인근 지역은 군사시설보호구역과 문화재보호구역 등도 함께 묶여 있어 허가구역에서 풀린다 해도 당장 토지를 개발하기는 어렵다.
한편 지가가 안정된 상황에서 투기수요에 숨통만 틔여준 것 아니냐는 비판도 제기된다.
세종대 변창흠 교수는 "개발 가치가 떨어진다 해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된 것은 투기수요가 있었기 때문"이라며 "공공성을 강화해야 할 정부가 이번 조치로 오히려 투기수요를 되레 용인한 꼴"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