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 이후섭 기자] 코로나19가 가속화한 언택트(비대면) 시대에서 증가하는 사이버공격에 대응하기 위한 정보보호산업도 발전할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이를 기회로 삼아 국내 보안산업을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정부와 함께 군, 학계, 산업계가 협업하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인공지능, 머신러닝, 클라우드 등 신기술 분야의 인재를 양성하고 보안에 대한 기업 인식 제고 및 투자 확대, 규제 개선 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정수환 한국정보보호학회장은 8일 열린 `2020 정보보호의 날 기념식`에서 기조연설을 통해 “코로나19로 재택근무 확산, 온라인 교육, 비대면 진료 등의 환경이 조성됐지만, 비대면 사회로 전환되면서 사용자 인증, 네트워크 공격 대응, 자료 유출, 가상화 환경 안전 등의 정보보호 이슈도 생겨났다”며 “해커들 입장에서는 지금이 엄청난 공격의 호기로 작용할 수 있다. 코로나 사태를 겪으면서 침투성, 은밀성, 복제 및 변종 등 복합적인 특징을 갖는 악성코드를 제작할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실제 올해 1분기 737개의 악성코드가 새로 발견됐으며, 스팸메시지는 220배 급증했고, 악성코드 인터넷주소(URL)도 260% 늘었다는 설명이다.
사이버 공격의 증가는 사이버 보안의 중요성을 부각시킨다. 정보보안 업계에서는 이번 사태를 보안산업이 성장할 수 있는 기회로 삼고, 정부와 군, 학계, 산업계 모두가 함께 성과를 만들어 내는 `결과지향적인 협력`에 나서자는 의견이 나온다.
다만 비대면 시대의 도래가 반드시 보안산업의 성장을 보장하진 않는다고 경계했다. 이 대표는 “현재 클라우드, 융합보안, 5G 등 새로운 보안 영역에서는 기존 보안업계가 아닌 글로벌 IT기업과 경쟁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인공지능, 머신러닝, 클라우드와 같은 선도 기술 분야의 인재가 필요한데, 국내 보안산업에 인재가 넉넉하지 않은 실정”이라고 아쉬워했다.
이에 정부와 학계, 산업계가 함께 융합형 보안 인재 양성에 적극 나서야 하며 보안에 대한 기업의 인식과 투자, 규제 등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언제 닥칠지 모르는 위험을 감수하면서 사업을 이어가기에는 현재 노출되고 있는 사이버 위협 상황이 녹록하지 않다”면서 “사이버 보안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지금이야 말로 `사이버 보안 협력 거버넌스 체계` 실행이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정부가 최근 밝힌 2차 정보보호산업 진흥계획에서 밝힌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남은 5년 동안 어떻게 협력할 지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2차 정보보호산업 진흥계획에 따르면 2025년까지 국내 정보보호 시장 규모를 20조원으로 확대하고, 3만개 이상의 일자리를 만들 계획이다. 문재인 대통령도 이날 서면 축사를 통해 “정부는 디지털 시대에 적합한 `K-사이버방역` 체계를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총 258억원의 추경예산을 반영했다”며 “사이버 보안에 취약한 중소기업을 지원하고, 보안기술산업의 성장을 촉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정보보호의 날은 매년 7월 둘째 주 수요일로 제정된 법정 기념일로 사이버 공격을 예방하고 정보보호 생활화를 위해 국민 인식을 제고하고자 지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