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일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 4월 1일 기준 특수교육 대상 학생은 10만3645명에 달한다. 특수교원은 2만4962명으로 교원 1명당 특수교육 대상 학생 4.15명을 맡고 있다. 이는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특수교육법) 대통령령에서 규정하고 있는 특수교사 1인당 학생 4명을 초과한 수준이다.
특수교원에는 특수학교·학급에 배정되지 않은 센터에 배정된 교원도 포함돼 있기 때문에 특수학교·학급에서 교사 1인당 맡는 학생 수는 더욱 많다. 실제로 특수교원 1인당 학생 수가 4명 이하인 지역은 17곳 중에서 강원·충남·충북·전남에 불과했다. 심지어 부산의 경우 특수교원 1인당 4.8명의 학생을, 제주는 특수교원 1인당 5.07명의 학생을 맡았다.
일부 학부모들은 장애 정도가 심각해 신변 처리가 힘든 아이들이 있는 교실에서는 더욱 수업이 힘든 환경이라고 주장했다. 5년 전 딸을 특수학교에 보냈던 박모(56)씨는 “선생님이 매 수업시간마다 아이들 대소변 때문에 수업을 제대로 진행하지 못하더라”며 “조금 더 소수로 운영된다면 이런 문제는 해결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현장 특수교사들 역시 안타까움을 표했다. 특수교육 특성상 교육을 위한 준비 시간도 많이 들고 학생마다 특성이 워낙 달라 수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게 현장 교사들의 의견이다. 수도권에서 특수교사로 근무 중인 박미진(가명)씨는 “일반교사보다 수업준비는 몇배들지만 학생별로 장애 정도가 달라 수업이 생각한 만큼 진행되지 않는다”며 “처음에는 ‘교사로서 자질이 부족한가’라는 자괴감도 들었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현장에서 특수교사의 필요성이 계속해서 강조되고 있지만, 내년 특수교사 신규 채용도 많지 않을 예정이다. 교육부가 지난 14일 발표한 ‘2023학년도 공립 유·초특수 교원 임용시험 선발규모’에 따르면 2023학년도 특수교사 모집 규모는 349명에 불과하다. 이는 지난해(894명)에 비해 59.8% 감소한 수준이다.
전문가들은 특수교육의 특성을 고려해 질 높은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특수교원 확보가 시급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박재국 부산대 특수교육과 교수는 “장애를 앓고 있는 학생들은 대부분 개별 지도가 시급한 아이들이기 때문에 이런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며 “질 높은 특수교육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학급당 학생 수를 줄이고 정규직 교사를 많이 뽑는 게 해법”이라고 말했다. 이어 “전국 특수교육 학과장들 모임에서도 특수교원 충원에 관련한 성명을 준비하는 등 여러 움직임이 있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