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 경계영 기자] 부동산시장이 달아올랐을까.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과 강원권은 그렇지만 이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은 외려 수축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진단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26일 발표한 ‘지역경제보고서’에서다.
‘아랫목’ 서울…집값 상승률도 더 높았다
한은 본부와 지역본부 15개가 지난달 19일부터 지난 7일까지 전국 주택시장 전문가 96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은 주택분양뿐 아니라 매매시장까지도 확장(회복·호황기) 국면에 있다고 평가 받았다. 거래량이 보합 수준이었지만 가격이나 심리 면에서 개선세를 나타냈다는 판단에서다.
특히 서울의 주택시장 경기 평가가 더욱 밝았다. 집값 상승 폭이나 주택시장 심리 모두 ‘다소’ 나아진 수도권과 달리 개선 폭이 컸다는 것. 재건축·재개발 등 도심 재정비 사업이 이뤄지면서 집값을 끌어올렸다는 응답이 다수를 차지했다.
강원권 주택시장도 양호한 것으로 조사됐다. 2018평창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기반시설 확충하는 등 지역경제 상황이 나아진 데다 올림픽 관련 지역 개발 기대도 함께 커졌기 때문이다.
이와 달리 나머지 지역 주택시장 분위기는 상반됐다. 충청권은 세종을 제외하면 수축(후퇴·침체기) 국면에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동남·대경·제주권 또한 마찬가지였다. 주택입주 물량이 늘어난 것이 매맷값 하락의 주요 요인으로 꼽혔다.
“지역별 차별화 대책 필요”
이번 설문에서 전문가들은 지역별 주택시장이 차별화하는 만큼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는 주장했다. 주택 매맷값이 빠르게 오르는 지역엔 시장 과열을 막을 수 있는 미시적 조치가 취해져야 한다는 것. 이는 6·19 부동산대책과 궤를 같이 한다는 게 한은의 판단이다.
수도권에 대해 일부 전문가는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 유예 종료 △신규분양 주택 관련 전매제한 지역 확대 등을 제시하기도 했다. 또한 서민·청년층의 주거가 안정될 수 있도록 공공임대주택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었다.
공급물량이 크게 늘면서 주택매매시장이 부진해진 지역의 경우 미분양주택을 해소할 수 있도록 자구노력을 하는 동시에 업계의 자율적 공급물량 조절, 옛 도심 활성화 사업 등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