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우강’의 강도로 한반도를 직접 강타했던 지난 2003년 태풍 ‘매미’의 세기와 비교될 만큼 강도가 센 태풍이 발생하면서 국내에 미칠 영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내달 3일 제주와 남해를 중심으로 강수가 예보돼 있으나, 태풍의 120시간(5일) 이후 예측은 수치모델의 신뢰도가 낮아 이날 도입된 강수 역시 변동성이 높은 상태다.
힌남노는 내달 2일까지 우리나라에서 먼 오키나와 부근 해상에서 오랜 기간 정체할 전망이다. 해상과의 상호작용과 주변 기압계 상황에 따라 이동경로와 태풍의 세기는 변동성이 큰 상태로, 국내에 미칠 직간접 영향은 내달 3일 이후 보다 명확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30일 기상청에 따르면 태풍 힌남노는 이날 오전 9시 기준 일본 오키나와 동쪽 약 930㎞ 부근 해상에서 ‘매우강’의 강도로 발달했다. 중심기압은 945hPa, 최대풍속 45㎧, 강풍반경 300㎞에 달한다.
이 태풍은 앞으로 고수온역을 통과하면서 세력을 더 키워나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예상되는 최성기의 중심기압은 9월1일 925hPa, 최대풍속 51㎧다.
제12호 태풍으로 발달할 가능성이 점쳐졌던 열대요란을 힌남노가 병합하면서 힌남노의 강도와 크기가 더 커질 가능성에 가까워지고 있다.
현재까지 기상청이 관측된 자료를 바탕과 예측모델을 통해 예상한 힌남노의 이동경로는 서진하다 내달 2~3일경 방향을 전환해 북서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후 예상 경로는 각 수치예보모델마다 조금씩 다르다. 한국형수치예보모델(KIM)과 유럽중기예보센터모델(ECMWF)은 각각 일본 규슈지방을 스쳐 가거나 일본 중심을 관통할 확률이 높을 것으로 예상하고, 영국 기상청 통합모델(UM)은 대한해협을 통과할 여지가 큰 것으로 보고 있다.
이상연 예보분석관은 “남해안과 제주도를 중심으로 내달 3일을 전후해 강수가 도입될 것으로 예상되나, 이는 우리나라에서 먼 위치의 태풍이 우리나라로 고온다습한 공기를 유입시키며 차고 건조한 공기와 만나 도입되는 것”이라며 “태풍의 작은 위상 차이로도 강수 가능성은 변동성이 높다”고 전했다.
한편, 1959년 사라 이후 한반도에 상륙한 태풍 중 가장 강했던 태풍 매미의 최저기압은 910hPa, 최대풍속은 77㎧에 달했다. 최성기에 한반도에 상륙하면서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