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여당이 해양쓰레기 퇴치에 팔을 걷어붙인 것은 더이상 방관할 수 없을 정도로 문제가 심각하다는 판단에서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의 ‘낚시관리 실행력 제고 방안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연간 3회 이상 낚시를 하는 인구는 767만명(2016년 기준)에 달한다. 바다낚시로 발생하는 연간 쓰레기는 약 5만t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이렇게 발생한 쓰레기를 처리하는데 사용된 쓰레기 종량제 봉투의 비용만 약 8억6000만원~9억1200만원에 이른다.
어민 등이 6만여척의 어선에서 무분별하게 버린 폐어구는 연간 4만3800t에 달한다. 수협은 바다에 유실되는 폐어구가 매년 늘어나면서 해저에 가라앉아 치우지 못한 침적쓰레기만 14만t에 달할 것으로 추산했다.
폐어구에 선박 스크루가 감기는 사고도 잇따랐다. 해양경찰청에 따르면 지난해 해상조난사고를 당한 3820척 중 506척(13.2%)의 사고 원인이 ‘부유물 감김’ 때문이었다.
어민들은 휴어기에 어선을 침적쓰레기 수거에 사용하고 관련 예산을 지원할 것을 제안했다. 임준택 수협중앙회장은 “어업인들은 수년간 조업을 해왔기 때문에 연안어장의 해저지형을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다”며 “어구가 유실된 위치와 규모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갈고리 등 간단한 장비로도 침적 쓰레기를 수거할 수 있다”고 했다.
임 회장은 “이 방안은 어민들의 소득을 보전하고 수산자원도 보호하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방안”이라며 “어업인들이 침적쓰레기 수거 활동에 참여하면 휴어기 때에도 소득이 생기게 된다. 어민들이 수거 활동에 자율적으로 참여하고 휴어기가 확대될수록 수산 자원도 보호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