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위원인 민주당 박지원 의원은 이날 한 라디오에 출연, “어제(1일) 정부로부터 그런(북한의 후계구도) 움직임이 있고, 김정운을 내세워 충성맹세를 한다는 통보를 받았다”고 말했다. 한 정보위원은 “국정원으로부터 ‘북한이 5월28일 재외공관으로 김정운이 후계자로 확정됐다는 공문을 보내고 충성맹세를 받는 등 올인하는 모습이다’라는 내용의 보고를 받았다”고 했고, 또다른 정보위원은 “ ‘후계자 김정운’과 관련해 여러차례 보도가 됐는데 그게 사실로 보인다는 국정원 측의 설명이 있었다”고 전했다.
대북 소식통들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지난 2월16일 자신의 생일 연회에서 정운의 후계 내정을 발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운의 후계 내정 사실은 먼저 당 중앙위원회 조직지도부를 통해 중요 간부들에게 전달됐으며, 이어 지난달 25일 2차 핵실험 직후 군과 해외공관에 급속도로 퍼진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3월 실시된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선거 제216호 선거구에서 ‘김정’이라는 대의원이 선출됐는데, 그가 바로 정운이라는 관측도 제기된다.
하지만 정운의 권력세습이 현실화될지는 두고 봐야 한다는 시각도 적지 않다. 무엇보다 정운을 후계자로 지목한 것은 김 위원장이 김일성 주석으로부터 권력을 물려받을 때와는 차이가 크다. 김 위원장은 후계자로 내정된 뒤 20년 동안 후계수업을 해왔고, 자신의 조직과 사람을 충분히 확보한 뒤 최고 지도자 자리에 올랐다.
하지만 정운의 취약한 권력기반은 이복형인 정남, 친형인 정철 측과의 권력투쟁 가능성을 배태시킬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이 과정에서 변수가 김 위원장의 ‘건강’이다. 김 위원장의 건강이 갑자기 더 악화되고, 이로 인해 내부 권력투쟁이 벌어진다면 정운이 교체되거나 집단지도체제로 가는 등 후계구도가 변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