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수협중앙회와 주요 급식업체 간 상생 협약식이 열린 국회에서 만난 한 급식업체 관계자는 “고객사에서 수산물 메뉴 확대 요청이 들어오면 그때부터 협의를 시작해야 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
급식업계 “메뉴 주도권 없어 협력에 한계”
협약식에 참석한 굴, 전복, 멍게, 어류 등 관련 협회와 지역조합장들은 수산업계의 현실과 어려움에 대해 토로하면서 급식 업계의 적극적인 협력을 요청했다. 어민들은 현재 지난해 양식생산물 공급과잉에 따른 가격하락에 이어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로 인해 이중고를 겪고 있다면서 단발성이 아닌 꾸준한 소비 진작을 당부했다.
이에 급식 업계는 생계를 위협받고 있는 어민들의 절실함을 이해하고 수산물 소비 촉진을 위한 협력의 필요성에 공감한다고 화답했다. 다만 단체급식의 특성 상 메뉴 편성 주도권이 고객사에 있는 만큼 업체들의 움직임에는 한계가 있다고 주장했다.
급식 업계에서는 당장 임의대로 수산물 소비를 늘릴 수는 없는 상황이라고 하소연한다. 일단 고객사의 요청을 기다려야 하고 고객사별 급식 단가에 맞춘 메뉴 개발도 필요하기 때문이다.
앞서 전국 각 사업장에서 운영하는 사내 식당 86곳에 우럭과 전복을 활용한 메뉴를 늘리기로 한 HD현대도 아직 내부 협의가 끝나지 않아 현대그린푸드에 어떤 식으로 메뉴를 늘려달라는 요청은 전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다른 급식업체 관계자는 “워낙 수산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큰 상황에서 고객사들도 내부 눈치를 보며 조심스럽다”며 “누가 먼저 나서나 눈치를 보고 있는거 같다”고 말했다. 이어 “생선구이는 직화로 구워야 그나마 반응이 좋은 편인데 대량 조리가 힘들어 단체급식에서는 활용하기 어렵다”며 “특식 같은 형태로 전복, 멍게 등의 수산물을 쓸 수는 있지만 고객사에서 정확한 주문을 하지 않는 이상 우리가 먼저 나서기는 애매한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소비자 불안감 해소가 우선…“인증제 강화 필요”
수산물 소비 증대를 위해서는 정부와 수산업계 차원에서의 안전성 검증 강화도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급식 업계는 내·외부기관과 손잡고 방사능 검사를 강화하는 등 자체적인 안전관리에 힘쓰고 있는 상황이다.
이날 급식 업계를 대표해 모두발언에 나선 이동훈 풀무원푸드앤컬처 대표는 “소비자 심리 상태가 굉장히 중요하다. 농산물 같은 경우 농산물 인증, 해썹(HACCP) 같은 인증제도가 많은데 수산물은 인증 제도가 굉장히 적은 편”이라며 “정부 차원의 수산업계 인증제도가 확대된다면 소비자에게 전달될 수 있는 부분이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주문했다. 이어 “통계청 자료를 보면 육류보다 오히려 수산물 가격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수협도 같이 노력해서 가격 안정화에 집중해줬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노동진 수협중앙회장은 “국민들이 수산물 안전에 대해 염려하지 않도록 우리도 곧 전국 직판장에서 모든 어류 및 수산물들이 검역을 거쳐 나가도록 하는 시스템을 만들고 있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