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는 24개의 움직일 수 있는 뼈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정한 범위에서 구부리거나 비틀 수 있다. 각각의 척추뼈는 분리되어 그 사이를 젤리 모양의 디스크가 쿠션 작용을 하며, 척추뼈끼리 직접 맞닿지 않고 인대와 관절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척추의 상부면 관절과 하부면 관절은 뼈의 좁은 다리로 연결되어 있는데, 이 부위가 파열이 되면 척추분리증이 발생하여 척추가 정상위치에서 앞으로 미끄러지는 척추전방전위증이 진행될 수 있다. 외상이나 허리에 강한 스트레스, 퇴행성 관절염 등이 원인이 되며, 주로 요추 4번과 5번 사이, 요추 5번과 천추 사이에서 많이 발생한다.
허리를 앞으로 굽히거나 쪼그리고 앉아 있으면 괜찮은데 오래 걷거나 서 있을 때, 앉아 있다가 허리를 펴려고 할 때 요통과 좌골신경통이 나타나고 다리가 저리고 힘이 없어지는 증상을 보인다.
석 과장은 “과거 전통적인 수술 방법은 허리 근육을 넓게 벌린 다음 척추의 후궁을 상당 부분 제거한 후 신경을 옆으로 당긴 뒤 수술 도구를 집어 넣어 치료했다. 과다한 출혈, 신경근의 손상, 신경 유착과 같은 수술 후 합병증이 생길 위험이 컸다”며, “반면 요추부 추체간 골유합술은 미세현미경을 이용해 병변을 직접 보면서 척추체로 접근해 디스크를 제거하고 골융합용 기구(케이지)를 이식한 다음, 절개 없이 작은 상처만 내서 나사못을 척추뼈 안으로 정확하게 집어넣어 고정시키는 수술법이다. 최소한의 상처만 내기 때문에 출혈이 없고 수혈이 필요 없으며, 척추 신경을 건드리지 않으므로 신경 유착이 발생될 위험도 없다. 입원기간과 회복기간도 짧아 수술 부담이 적다”라고 말했다.
석 과장은 “척추전방전위증으로 발생한 디스크 높이의 감소로 요통과 좌골신경통 등 여러 가지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기 때문에 이를 회복시키는 것이 치료의 핵심이 되어야 한다. 요추부 추체간 유합술은 현재 많이 시행되고 있는 수술방법으로 그동안 많은 연구와 논문작업이 이루어졌으나, 다른 분야처럼 MCID를 적용하여 임상적 연관성을 높인 연구는 그동안 없었다. 이번 연구를 계기로 척추 분야에서도 임상적 연관성을 높인 연구들이 많아지고, 척추 치료기술의 발전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