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스냅타임> 기자에게 온 대출 빙자 보이스피싱 연락처에 전화를 걸자 한 남성 상담원이 전화를 받았다. 최근 보이스피싱 범죄는 정부 지원금으로 저리에 대환 대출을 해주겠다고 속이는 수법이 대부분이다.
이날 기자가 받은 문자 메시지 역시 “2분기 추가경정예산안이 59조 규모가 편성됐다”며 “연 1.9%~3.9% 고정금리로 최대 10억 원을 대출할 수 있다”는 내용이 적혀 있었다.
문자 메시지에 적힌 대표 번호로 전화를 걸어보니 ‘상담자가 많아 추후에 전화 주겠다’는 음성 안내 메시지가 흘러 나왔다. 상담 예약을 하니 약 1시간 이내로 한 남성으로부터 전화가 걸려왔다. 발신 번호는 일반 휴대폰 번호였다.
이 남성은 자신을 ○○은행 관계자라고 소개하며 자금이 얼마나 필요한지, 현재 재직 중인지, 기존 대출 상품이 있는지 등을 물었다. ‘기존 대출 상품’을 묻는 이유는 피해자에게 현금을 갈취하기 위한 작업이다. 이들은 “대출 받으려면 기존 대출금을 현금으로 상환해야 한다”며 피해자가 돈을 인출해 전달하도록 만든다.
매년 보이스피싱 피해가 극심하지만 잡기도 쉽지 않다. 경찰 관계자는 <스냅타임>에 “대부분 보이스피싱 조직이 해외 전화번호를 국내 휴대전화 번호로 둔갑시켜 피해자에 접근해 잡아내기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에 따르면, 보이스피싱 조직은 국내에서 휴대폰을 개통해 ‘중계기’로 사용하며 해외 번호를 국내 휴대폰 번호로 둔갑시킨다.
한편,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보이스피싱 피해금액은 총 1682억 원으로, 이 중 피해자가 환급 받은 피해 금액은 603억 원(35.9%)에 그쳤다. 대다수 피해자가 보이스피싱에 당한 금액을 돌려받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금감원 불법금융대응단은 “코로나19 관련 백신접종, 재난지원금 또는 대선 여론조사 등 국민적 관심도가 높은 주제를 이용한 신종 사기수법이 발생하고 있다”며 “제도권 금융회사는 전화?문자를 통한 대출 안내, 개인정보 제공, 자금 요구, 뱅킹 앱 설치 등을 절대 요구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