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건설사가 임대사업에 뛰어드는 것은 사실상 처음이어서 눈길을 끈다. 특히 이 경우 민간 임대아파트에도 ‘푸르지오’나 ‘e편한세상’ 등 대형 건설사들의 유명 브랜드가 사용될 전망이다.
◇대형사 임대사업… 내년 동탄신도시에서 신호탄
건설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수급 조절 임대리츠를 통해 2017년까지 민간 임대아파트 1만호를 쏟아낼 예정이다. 첫 시범사업으로 경기도 동탄2신도시 A14블록을 선정, 1135가구 규모의 임대주택(아파트)을 수급 조절 임대리츠로 공급한다.
사업 방식은 한국주택공사(LH)가 시공사인 건설사를 공모 방식으로 선정한 뒤 주택기금과 함께 금융기관 등의 투자자를 모아 리츠(부동산투자회사)를 구성하는 형태다. 이 리츠가 LH로부터 공공분양용지를 사들인 뒤 보증부 월세 아파트를 지어 운영하는 것이다. LH는 내년 1월 사업자 모집 공고를 낼 계획이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리츠 방식으로 임대사업에 참여하는 것이긴 해도, 대형 건설사들이 민간 임대주택사업에 발을 들이는 것은 처음”이라며 “임대관리회사와 함께 사업에 참여하는 방안도 염두에 두고 있다”고 말했다.
“임대 리츠, 수익률 5% 이상 기대”
대형 건설사들이 임대리츠 사업에 뛰어드는 가장 큰 이유는 수익원 다각화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올해 하반기 분양 물량이 2003년 이후 최다치를 기록할 정도로 분양시장이 호황이지만 국내 경기가 둔화되고 있어 지속적인 호황을 장담할 순 없다. 해외시장 역시 중국과 인도 등 경쟁국들이 저가 수주 공세를 펼쳐 전망이 그리 밝지만은 않다.
대형 건설사들이 보통 주택사업을 진행하기 위해 시설자금 대출을 받을 때 적용받는 금리는 4.1% 수준이다. 반면 리츠에 참여할 경우 대한주택보증의 보증을 받아 1%포인트가량 낮은 3%의 금리를 받을 수 있다. 그만큼 수익률이 커지는 셈이다.
또 민간 임대주택이어서 보증부 월세의 임대료를 주변 시세와 비슷한 수준에서 책정할 수 있다. 향후 집값이 오르면 매각 차익도 남길 수 있다. 임대리츠의 의무임대기간은 8년이지만 주택시장 상황에 따라 4년 만에도 분양 전환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연 5% 이상의 수익률이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원가 절감 등을 통해 임차인에게 부담이 가지 않는 범위 안에서 수익률을 최대한 올려줄 예정”이라며 “건설사 자체적으로 사업을 진행했을 때보다 위험이 훨씬 작아 대형사들이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