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 의대 의생명시스템정보학교실 정인경 교수와 한민경 박사,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류마티스내과 혈관염클리닉 이상원 교수, 용인세브란스병원 류마티스내과 안성수 교수 공동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 분석결과 ‘전신 괴사성 혈관염 환자’는 일반인구 대비 결핵의 발생 위험이 약 6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고 13일 밝혔다.
결핵은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으로 호흡기를 통해 전염된다. 주로 폐에 염증을 유발하지만 림프절, 신장, 신경계, 뼈 등 신체의 모든 부위에 염증을 일으킬 수 있다. 세계보건기구(WHO) 보고서에 따르면 매년 1,000만 명 이상이 결핵에 걸리고, 사망의 10대 원인 중 하나로 보고했다. 결핵 발생 위험인자로는 고령, 남성, 흡연, 영양실조, 만성 폐쇄성 폐 질환(COPD), 만성 신부전, 악성 종양,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HIV) 감염, 자가면역 질환 등이 알려졌다.
이전 연구에서는 류마티스 관절염, 건선, 루푸스와 같은 자가면역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서 결핵이 증가함이 보고됐다. 특히 류마티스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건선 관절염의 치료에 사용되는 TNF-α 억제제를 사용하는 경우 그 위험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자가면역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서 결핵에 대한 주의 깊은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연구팀에서 확인하고자 했던 전신 괴사성 혈관염(systemic necrotizing vasculitides)은 ‘항호중구세포질항체(ANCA) 연관 혈관염’과 ‘결절다발동맥 결절염’으로 나뉘며, 작은 크기와 중간 크기의 혈관에 괴사성 염증을 유발한다. 하지만, 이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서 결핵 발생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았다.
추적 기간에 전체 환자 중 총 51명(1.9%)에서 결핵이 발생했다. 이를 표준화 발생비(Standardized incidence ratio)로 환산하니, 남녀 전체는 6.09, 남자 5.95, 여자 6.26을 나타냈다. 이는 일반인 대비 괴사성 혈관염 환자에게서 결핵의 발생 위험이 약 6배 정도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핵 발생과 관련 있는 유의한 인자로는 미세 다발혈관염, 육아종 다발혈관염, 다발동맥 결절염을 진단받은 환자들로 나타났고, 이들 질환에서 결핵 발생률이 증가했다.
이상원 교수는 “일반적으로 자가면역 질환 환자들은 결핵에 걸릴 확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질환의 희소성 때문에 전신 괴사성 혈관염 환자에서 결핵이 증가하는지는 아직 연구되지 않았다. 국민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를 사용해 총 2,660명의 환자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전신 괴사성 혈관염 환자들은 특히 질병 진단 초기에 결핵 발생률이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안성수 교수는 “이번 연구는 전신 괴사성 혈관염 환자에서 결핵 발생률이 증가한다는 것을 규명한 첫 논문으로 질병의 아형에 따라 결핵 발생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같이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 앞으로 이러한 질환이 있는 환자들을 치료하면서 결핵 발생에 대한 주의 깊은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지난 10월 국제학술지 Frontiers in Medicine에 ‘전신 괴사성 혈관염에서 결핵의 발생률: 결핵-중부담 국가에서의 인구 기반 연구(Incidence of Tuberculosis in Systemic Necrotizing Vasculitides: A Population-Based Study From an Intermediate-Burden Country)’라는 주제로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