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가 빚을 지는 그 자체는 경제 성장에 나쁘지 않다. 자발적으로 대출을 받아 소비에 나서는 건 오히려 성장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다. 다만 소득이 비슷하게 증가하지 않으면 추후 이자상환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건 문제로 지적된다.
20일 통계청 금융감독원 한국은행이 내놓은 ‘2016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가구의 평균소득은 4883만원으로 2014년(4770만원) 대비 2.4% 증가했다.
이런 증가율은 같은 기간 우리 경제가 성장한 정도에 미치지 못 한다. 지난해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2.6%였다. 우리 경제가 창출해낸 부가가치가 늘어난 정도보다 가계가 번 소득은 더 작았다는 해석이 가능한 대목이다.
가구소득 중 직장인 등을 포함하는 근로소득과 자영업 등을 의미하는 사업소득 비중은 줄어든 게 눈에 띈다. 각각 65.5%와 23.0%로 0.1%포인트, 0.9%포인트 감소했다. 반면 임대수입 등이 포함된 재산소득 비중은 4.5%로 0.5%포인트 증가했다. 재산소득은 전년 대비 15.6%나 증가하기도 했다.
가구의 자산 증가율은 소득보다는 더 높았다. 올해 3월 기준 가구의 평균 자산은 3억6187만원으로 전년과 비교해 4.3% 증가했다.
문제는 부채의 증가 속도는 더 가파르다는 점이다. 올해 3월 기준 가구의 평균 부채는 6655만원으로 전년 대비 6.4% 증가했다.
금융부채에서 담보대출과 신용대출은 각각 3847만원, 692만원으로 각각 57.8%, 10.4%를 차지했다. 지난해 3월과 비교한 증가율은 각각 7.9%, 5.9%에 달했다.
큰 규모의 부채를 짊어진 가구는 더 증가했다. 3억원 이상(6.8%→7.2%), 2억~3억원(6.3%→6.7%), 1억1000만~2억원(12.1%→12.4%) 등의 비중은 0.3%포인트~0.4%포인트가량 늘어난 것이다.
이같은 소득 자산 부채 분포는 현재 우리 가계의 처지를 여실히 보여준다는 평가가 나온다. 소득 증가가 미미한 가운데 사실상 유일한 자산증식 수단인 부동산에 돈이 몰리고, 그 자금을 위해 부채를 더 늘리는 행태다. 이로 인해 민간소비가 정체되는 부작용은 있었음에도 그나마 그동안 집값이 올라 이런 구조가 가능했다.
다만 문제는 앞으로다. 당장 내년 부동산 경착륙 우려가 나오고 있는 탓이다. 추후 집값이 하락하고 금리가 올라가면, 우리 경제의 최대 뇌관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