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일 니혼게이자이(닛케이)신문에 따르면 일본은행(BOJ)이 미국 달러화 및 유로화 등 주요 통화와 비교해 엔화의 종합 구매력을 산출하는 실질실효환율 지수가 7월 74.31을 기록했다. 이는 달러당 360엔으로 환율이 고정됐던 1970년 9월 이후 최저치인 작년 10월(73.7) 수치에 근접한 것이라고 닛케이는 설명했다. 즉 현재는 달러당 140엔대 중반에서 환율이 움직이고 있지만, 실질적인 구매력은 53년 전과 유사한 수준이란 의미다. BOJ가 금융완화 정책을 고수하면서 엔화가치가 하락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결과적으로 가계의 재정 부담을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다. 미즈호 리스치 앤드 테크놀로지가 달러·엔 환율을 145엔 전후로 가정하고 추산한 결과, 일본 가계는 2022년 이후 세대당 총 18만 8000엔(약 170만원)을 더 지출한 것으로 집계됐다. 일본 정부의 전기·가스 요금 지원 효과를 걷어내면 총 부담액은 20만엔(약 181만원)을 넘어선다. 사카이 사이스케 미즈호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저소득자의 부담이 상대적으로 더 크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엔화가 구매력을 회복하려면 임금과 물가가 동반 상승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일본의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올해 7월까지 11개월 연속 전년대비 3%대 상승률을 지속하며 BOJ의 목표치(2%)를 웃돌았지만, 실질임금은 15개월 연속 하락했다. 명목임금 상승률이 물가 상승률을 밑돌고 있다는 뜻이다. 닛케이는 “물가가 오른 만큼 임금도 올라야 소비자들이 지갑을 열게 되고, 기업들도 투자에 더 많은 매력을 느낀다”며 “물가와 임금의 동반 상승이 엔화의 구매력을 높이고 디플레이션에서 탈출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