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회사의 한국법인은 스스로를 한국토요타라고 부른다. 하지만 국립국어원 외래어표기법을 단순 적용하면 도요타가 맞다. 일본어의 경우 ㅋ,ㅌ 같이 거센소리 자음이 첫머리에 올 때 ㄱ,ㄷ 같은 된소리 발음으로 고쳐 쓰기 때문이다. 회사는 토요타라고 주장하지만 단순 어법상으론 도요타가 맞는다.
그런데 변수가 있다. 도(토)요타가 고유명사기 때문이다. 고유명사의 표기는 해당 개인 혹은 단체가 정하는 대로 부르는 것이 원칙이다. 예컨대 도요타와 토요타는 세계 1위 자동차 회사 브랜드를 일반명사로 보느냐, 고유명사로 보느냐에 따라 표기를 달리할 수 있다. 본지의 경우 도요타가 일반명사라는 전제로 ‘도요타’로 통일하고 있다.
국립국어원 관계자는 “외래어 표기법을 그대로 적용하면 ‘도요타’지만 고유명사라고 봤을 땐 ‘토요타’가 더 정확하다. 둘 다 나름의 논리가 있고, 현실적으로 혼용되고 있는 만큼 아직 어느 쪽이 맞다고 잘라 말하긴 어렵다”고 말했다.
헷갈리는 것은 또 있다. 이 회사의 창업주 가문의 성은 토요타도 도요타도 아닌 ‘도요다’다. ‘豊田’라는 한자는 같지만 읽는 방식이 다르다. 일본의 경우 같은 한자라도 히라가나 표기상 다르게 읽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 가문을 말할 땐 ‘도요다’가 현재로썬 정확한 한글 표기다.
이 같이 헷갈리는 외래어 표기 사례는 비단 도요타에 국한되지 않는다. 독일 자동차 회사인 ‘Volkswagen’은 ‘폴크스바겐’으로 읽는 게 정확하다. 현지어(독일어)에 최대한 가깝게 발음토록 한 외래어 표기법에 따른 것이다. 영어식 하지만 국내법인은 ‘폭스바겐 코리아’다. 발음인 ‘비엠더블유’로 더 잘 알려진 독일 ‘BMW’ 역시 ‘베엠베’가 정확한 표기다. 외래어표기법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없는 한 이 같은 혼용은 불가피한 상태다.
다만 이 역시 정확한 외래어표기법은 아니다. 정확히는 ‘셰브럴레이’, 줄여서 써도 ‘셰보레’로 하는 게 맞다.
다소 혼란이 있지만 이미 정해져버린 건 어쩔 수 없다. 회사나 브랜드명, 한번 정해져서 고객에 각인되면 돌이키기 힘들다. 모쪼록 다음에 들어오게 될 수입 브랜드는 국립국어원의 외래어표기법을 정확히 참조해 이름을 정하는 게 회사나 소비자 모두의 혼란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