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의료기술이 발전해 가급적이면 메스를 대지 않고 방사선과 항암제만으로 암을 치료하려는 사람이 늘고 있다. 영상 유도 3차원 입체조영, 세기조절 방식, 체부정위 방식,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한 국소근접 치료 등을 활용한 최신 방사선치료는 과거의 무차별적인 방사선치료에 비해 효율과 만족도가 높다.
하지만 S씨처럼 반복적인 방사선치료로 인해 피치 못할 부작용을 겪는 사례도 늘고 있다. 이를 포괄하는 질환이 방사선섬유화증후군(Radiation Fibrosis Syndrome, RFS)다. RFS는 정상 조직이 방사선에 피폭돼 미성숙하고 무질서한 구성물질(matrix) 및 콜라겐으로 대체됨으로써 전반적인 수축과 기능 저하가 일어나면서 경화되는 질환이다. 연조직, 신경조직이 먼저 손상되고 나중에는 근골격계까지 피해를 입으며 심폐조직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방사선요법을 반복적으로 받다보면 짧게는 몇 주, 길게는 몇 년 후에 나타날 수 있다. 성공적으로 방사선 치료를 받았더라도 전체 치료 경험자의 5~50%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연구돼 있다.
피부로만 국한하면 홍반, 각질탈락(낙설), 색소침착, 열감, 수포, 미란, 통증, 염증과 궤양의 반복, 탈모, 모세혈관의 확장 또는 위축 등이 나타나는 방사선피부염(Radiodermatitis)이 드물지 않게 나타난다.
RFS의 약물치료는 대체로 대증요법이다. 1차적으로 스테로이드(덱사메타손 등),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s)로 염증과 통증을 관리하며, 필요하면 벤조디아제핀 및 바클로펜과 같은 근육이완제를 함께 투여한다. 신경병성 통증이 있으면 프레가발린과 같은 경구 신경안정화제, 근육 경직에는 국소마취제 주사제, 극심한 통증에는 마약성 진통제(오피오이드)를 쓴다.
서구에서나 국내 일부 의사는 RFS 치료에 이 병의 발생 기전을 억제하는 펜톡시필린(pentoxifylline), 테스토스테론 대체요법제(tocotrienol), 폐에 생긴 RFS를 개선할 가능성이 있다는 심바스타틴(simvastatin)이나 에날라프필(enalapril), 방사선 피부섬유증(skin fibrosis)에 티로신키나제 억제제 항암제인 이매티닙(imatinib) 등을 투여하기도 하지만 아직 검증이 덜 됐거나 실험적인 시도에 불과하다.
재활치료는 근골격계가 굳지 않도록, 근력이 감소하지 않도록, 기존 신체 기능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필요하다. 이같은 치료들은 환자의 삶의 질 개선에 도움이 된다.
심 원장은 RFS의 새로운 물리재활치료법으로 자체 개발한 ‘엘큐어리젠요법’을 추가했다. 매주 두 차례 최신 전기자극치료인 엘큐어리젠치료를 받으면 섬유화된 조직이 음전하에 의해 이온분해됨으로써 경직된 조직이 풀어지고 피부가 부드러워진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심 원장은 “고전압을 낮은 전류의 세기로 신체에 흘려주면 세포, 조직 단계에서 활성화가 일어나며, RFS의 경우 근육과 신경이 재생되는 효과가 나타나 경직과 통증, 염증, 피부궤양 등을 개선해줄 것으로 기대된다”며 “장기간 시행해도 인체에 부작용이 전혀 없다는 게 장점”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