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2015년 1일부터 2017년 7월까지 도시재생활성화시범지역으로 지정된 9개 지역(서울역, 창신숭인, 가리봉, 상도, 성수, 신촌, 암사, 장위, 해방촌)의 주택가격을 전수조사한 결과 연평균 상승률은 7~8%로 같은 기간 서울 전체 증가율 8%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고 22일 밝혔다. 주택유형별로 분석하면 도시재생활성화사업 지역의 평균 상승률은 단독·다가구가 7%, 다세대·연립 주택가 7%, 아파트가 8%였다. 반면 서울 전체 주택 평균가격 상승률이 주택 유형과 상관없이 모두 8%를 기록했다.
또 자치구 내에서 도시재생활성화사업구역의 주택가격 상승률이 더 높은지를 살펴본 결과, 도시재생활성화사업 구역의 주택가격 상승률과 그 구역이 속한 자치구의 전체 주택가격 상승률은 유사하거나 일부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창신숭인, 가리봉, 장위, 성수, 신촌 등은 일부 주택 유형의 매매가격 증가율과 ㎡당 가격이 그 구역이 속한 해당 자치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휘진 서울시 재생전략팀장은 “이들 지역의 주택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은 재생사업 시행에 따른 영향이라기보다는 창신숭인, 가리봉, 장위 지역의 경우 정비사업구역에서 해제되면서 신축 수요가 집중되고 성수지역은 분당선 연장에 따른 강남권 수요 흡수, 서울숲 조성에 따른 주변지역의 명소화, 고가 아파트 신규 건설에 따른 신흥 부촌으로 부상하면서 가격이 올라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또 신촌의 경우, 가격이 비싼 신축 도시형 생활주택의 거래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일시적으로 가격이 상승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진희선 도시재생본부장은 “이번 조사 결과를 보면 도시재생활성화사업 지정과 부동산 투기는 큰 연관성이 없고 오히려 아파트 가격을 안정화하기 위해서는 지속해서 저층 주거지의 주거환경을 개선해 강남 중심의 아파트 수요를 분산해 나가야 한다”면서도 “아직 1단계 도시재생지역이 완료되지 않았고 일부 국부적으로 지역의 가격이 최근 급등한 자료가 있는 만큼 지속해서 모니터링을 해 투기를 예방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