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9일 밤 이태원 압사 참사가 발생한 장소는 용산구 이태원동 해밀톤호텔 옆 폭 3.2m, 길이 40m의 경사진 좁은 골목길이다. 성인 5~6명이 겨우 지나갈 수 있을 정도로 비좁은 곳이다.
게다가 세계음식거리에서 이태원역 1번 출구가 있는 대로와 맞물리는 곳이라 ‘병목현상’도 불가피했다. 이태원역에서 나와 올라가려는 사람, 세계음식거리가 있는 위쪽에서 내려오는 사람의 동선이 겹친 것. 사고 전에는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우측통행을 했지만, 몸이 떠밀려 가는 수준으로 불어난 인파는 흡사 거친 파도에 조각배가 떠밀려 가듯 의지대로 움직일 수 없는 상황으로 내몰았다.
그러던 순간 특정할 수 없는 어느 시점과 지점에서 미처 손쓸 새 없이 순식간에 대열이 무너졌다. 사람들이 ‘도미노’처럼 쓰러지다 보니 내리막길 아래에는 사람들이 책처럼 겹겹이 쌓이게 됐다. 몸무게 65kg 성인 100명이 밀 때 체감되는 압력은 18톤(t)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피해자 중에는 남성보다 여성이 많았는데 인파가 몰린 좁은 공간에서 상대적으로 힘이 약하고 체구가 작은 여성들이 빠져나오기 쉽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
소방당국에 따르면 오후 10시15분 최초 신고를 접수하고 소방과 경찰이 총출동했지만, 구조에 애를 먹었다. 현장에서 소방대원과 경찰관들이 가장 아래에 깔린 피해자를 빼내려고 팔을 잡아당겼지만, 뒤엉킨 상태에 위에서 사람들이 누르는 하중까지 더해져 인력으로 빼내기가 쉽지 않았다. 소방당국은 오후 11시50분 소방대응 3단계를 발령했는데 사고 발생 90분이 넘어서야 뒤늦게 이뤄졌다는 지적도 나왔다.
사고 현장과 가장 가까운 소방서 거리는 100m 안팎으로 멀지 않았지만, 꽉 막힌 이태원로를 뚫고 구급대가 응급 환자에 도달하기도 평소보다 오래 걸린 것으로 전해졌다. 역대급 규모의 사고로 소방과 의료진으로도 현장 수습은 역부족이었다. 현장에서는 심폐소생술(CPR)이 가능한 시민이 자발적으로 동참해 피해자들을 구조에 나서야 할 정도였다.
‘안전불감증’도 사고에 기름을 부은 격이 됐다. 코로나19 이후 3년 만에 열리는 핼러윈 축제에 억눌렸던 심리가 분출되며 이태원 전역이 들썩였다. 지난 28일 금요일 저녁부터 인파가 ‘핼러윈의 상징’인 이태원으로 몰렸는데 주말인 29일 토요일 밤에는 절정에 달했다.
경찰은 이번 핼러윈 축제에 인파 약 10만명이 몰릴 것으로 예상해 사고 발생 이틀 전 ‘이태원 종합치안대책’을 발표, 경찰력 200명 이상을 배치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에 인력도 평소 대비 1.5배로 증원했지만, 결과적으로 역부족이었다. 용산구도 오는 31일까지를 ‘핼러윈데이 긴급대책 추진 기간’으로 설정하고 주요 시설물 안전점검 등 대책을 추진했지만 압사 사고를 예견하는 등 미리 대응하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