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 중장 직위인 4명의 합참 본부장 중 3명이 자리를 비웠다. 3명의 전방 군단장 자리는 예하 사단장 대리 체제로 이어졌다. 육군 사단급 부대의 경우에도 12명의 지휘관이 임기를 넘겨 근무했다. 국방부 고위공무원 역시 5명의 실장 중 3명이 자리를 비웠웠다. 심각한 임무공백 상태였다는 얘기다.
우리 군은 보통 4월과 9~10월께 정기인사를 통해 장군 인사를 단행한다. 하반기 인사에선 대령들의 준장 진급과 대장 인사, 이에 따른 후속 인사가 이뤄진다. 상반기에는 주요 야전 지휘관 인사를 한다.
|
그러나 문재인 정부에서의 군 장성 인사는 매번 늦어졌다. 그러다 보니 임기를 넘긴 일선 지휘관들의 책임감은 떨어질 수밖에 없었다. 전역 예정인 장군들은 더욱 그랬다. 지휘관 교체 시기가 되면 제 때 바꿔줘야 제대로 된 부대 운영이 가능한데도 말이다.
그러나 군이 추천도 하지 않은 인물이 진급하는 사례가 있었다. 그래서 군 내에서는 ‘청와대 모 행정관에게 밉보이면 진급은 물건너 간다’, ‘모 비서관에 줄을 서야 한다’, ‘모 수석비서관이 군 인사를 좌지우지 한다’는 식의 말이 정설처럼 여겨졌다. 군 인사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는 얘기가 나오는 이유다.
윤석열 제20대 대통령 당선인은 후보 시절 공약집에서 ‘국민을 위한 군대다운 군대’를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치권의 군 인사개입 차단과 군 지휘체계 확립을 약속했다. 차기 정부에서는 시스템에 의한 군 인사가 제대로 이뤄질지 관심이 가는 대목이다.
내년 발간 국방백서, ‘북한=주적’ 명기할 듯
|
이후 2010년 3월 천안함 피격 사건이 발생하면서 대북 강경론이 비등하며 주적 개념 명문화 여부가 논의됐다. 그러나 정치 사회적 논란을 우려해 이후 발간된 2010 국방백서부터 북한 정권과 북한군을 우리의 적이라고 적시해왔다.
그러나 2018년 국방백서에서는 북한 위협뿐만 아니라 점증하고 있는 잠재적 위협과 초국가적·비군사적 위협을 포괄하는 것으로 적 개념을 기술했다. 최신판인 2020년 국방백서 역시 적에 대한 개념을 ‘대한민국의 주권, 국토, 국민, 재산을 위협하고 침해하는 세력’이라고 2018년 표현을 유지했다. 그러면서 “9.19 군사합의로 군사적 긴장완화와 신뢰구축의 기반을 마련했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