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서 올해부터 포화상태에 들어서는 방사성폐기물 관리에도 비상이 걸렸다.
1일 지식경제부는 경주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처분시설의 건설 목표를 당초 준공일정인 2010년 6월에서 2012년 12월로 연기한다고 밝혔다.
지상지원시설의 경우 당초 계획대로 순조롭게 공사가 진행되고 있지만 지하시설 공사에 문제가 발생했다.
지하시설의 경우 처분동굴을 건설하기 위한 1.9km의 건설동굴과 1.4km의 운영동굴을 뚫어야 하는데 생각보다 암질등급이 낮아 굴진속도가 느려지고 있는 것이다. 현재 건동굴의 실적률은 24%, 운영동굴은 34%다.
그는 "그 동안 처분시설 건설공사를 맡은 한국수력원자력은 공기만회를 위해 국내외 전문가들로 통합사업관리점검팀을 구성해 시공방법을 개선하고 있지만 준공일정 준수에는 한계가 있다"고 설명했다.
공사에 예상치 못했던 걸림돌이 생기면서 공사비는 당초 1200억원에서 700억원(58%) 늘어난 1900억원 가량으로 증가하게 됐다.
이에 대해 민 이사장은 "경주 방폐장의 전체 사업비 1조5000억원에서 700억원의 추가비용은 5% 미만이기 때문에 사업예비비 등으로 커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일단 비상계획은 세워뒀다. 민 이사장은 "일단 방폐장 내에 있는 6000드럼 규모의 인수저장건물에 반입하고, 2012년 6월 이후 반출되는 폐기물은 우선 준공되는 경주 방폐장 사일로를 이용하거나 인수저장건물의 저장능력을 확충해 저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2012년말까지 경주 방폐장이 완공되지 못할 경우 포화 방폐물 관리에 큰 허점이 생길 수밖에 없다.
한편 경주 처분시설은 2007년 7월19일 전원개발사업 실시계획 승인을 받아 부지정지에 착수했고, 지난해 7월31일 건설운영허가를 취득해 같은 해 8월부터 공사에 들어갔다. 위탁시공사는 한국수력원자력이고, 건설시공사는 대우건설(047040)과 삼성건설 컨소시엄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