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용부는 이번 증가세 유지가 코로나19가 확산하던 지난해 5월의 기저효과와 함께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조치가 유지된 영향이 미친 것으로 분석한다. 지난 2월 수도권은 2.5단계에서 2단계로, 비수도권은 2단계에서 1.5단계로 거리두기 단계가 완화된 뒤 유지되고 있다.
특히 양질의 일자리인 사용직 근로자는 전년 동월 대비 12만명이 증가해 지난달에 이어 두 달 연속으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임시일용근로자도 21만 3000명 늘었고, 학습지 교사 등이 포함된 기타종사자도 1만 8000명 증가했다.
산업별로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제조업이다. 전 산업 종사자 수의 비중이 가장 큰 제조업이 지난달 1만 1000명 증가했기 때문이다. 제조업은 지난해 2월부터 종사자 수가 감소폭으로 돌아선 뒤 16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상반기에 집중된 정부의 공공일자리 사업도 종사자 수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백신 접종 지원 등 공공일자리가 포진한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11만 4000명으로 가장 크게 늘었고,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분야서도 4만 7000명이 증가했다.
코로나19로 인해 고용충격이 컸던 업종도 회복 조짐을 보인다. 숙박 및 음식점업은 3만 7000명 수준의 감소폭을 보였는데, 지난 1월에 감소폭이 24만명까지 확대된 이후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한편 지난 4월 기준으로 집계된 임금과 근로시간에서도 고용 충격 완화 영향이 확인됐다. 상용근로자 임금총액은 366만 5000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4.2% 증가했다. 코로나19 등의 영향으로 임금상승률이 둔화된 전년의 기저효과와 도매 및 소매업, 금융 및 보험업 등에서 특별급여 증가 등의 영향이라고 고용부는 설명했다.
반면 임시일용직의 경우 임금총액이 172만 2000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2.6% 증가하는데 그쳤다. 전년 동월의 증가율(11.0%) 대비 크게 줄어든 수치다. 고용부는 “전년 동월에는 상대적으로 임금 수준이 낮은 산업의 임시일용근로자가 감소해 임금 상승률이 크게 확대됐다”며 “당월에는 건설업 임금상승률 둔화, 임금수준이 낮은 산업의 임시일용근로자 증가, 최저임금 상승률 둔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임금상승률이 전년 동월 대비 축소했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