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 사업이 무산될 경우 용산개발사업을 위해 설립한 드림허브PFV의 출자사들의 막대한 금전손실은 물론 용산지역 부동산시장에도 적지 않을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코레일도 만성 적자기업에서 탈피할 수 없게 된다.
우선 사업 중단시 드림허브PFV는 디폴트(채무불이행)에 처하고, 출자사들은 납부한 토지대금 계약금(4400억원)을 위약금 형태로 떼이게 된다.
드림허브PFV의 자본금은 총 1조원 규모로 30개 출자사가 참여해 설립됐다. 코레일이 지분 25%(2500억원)로 가장 높고, 롯데관광개발 15.1%(1510억원), KB자산운용(1000억원), 푸르덴셜 7.7%(770억원) 삼성물산 6.4%(640억원) 등의 순이다.
삼성물산 등 건설 투자자들이 프로젝트파이낸싱(PF) 지급보증을 계속 거부하면 용산 개발사업은 자동 중단되고, 사업자 재선정 절차에 들어갈 가능성도 있다.
사업 중단에 따른 삼성물산 등 출자사들의 브랜드 가치하락과 더불어 향후 국내 공모형 PF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PF부실 문제가 사회적 이슈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부채비율과 리스크 관리를 의식할 수밖에 없는 건설사들 입장에선 당분간 PF사업 참여는 어려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장기간 재산권 행사에 제약을 받아온 서부이촌동 주민들의 집단 반발과 민원도 예상된다.
용산지역 부동산 값은 최근 몇년간 용산역세권 개발 기대감으로 강세를 보였다는 점에서 사업이 무산되면 부동산 값 거품이 한꺼번에 꺼질 우려도 있다. 부동산 값이 급락할 경우 선의의 피해자가 나올 가능성도 크다.
그러나 사업추진이 실패하면 이같은 경제적 기대 효과가 사라지고 나아가 국가 신인도까지 타격을 받을 가능성도 있다. 코레일 입장에서도 용산개발을 통해 고속철도 건설부채(4조5000억원)를 갚고, 적자기업에서 탈피하겠다는 계획에 심대한 타격을 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결과적으로 국민부담으로 돌아올 가능성이 높다.
■사업무산시 우려되는 손실
드림허브 : 위약금 4400억원 지불 등으로 인한 디폴트
코레일 : 부채(4조5000억원) 해소 실패, 만성 적자기업화
서울시 : 한강르네상스 사업 타격
건설사 : 프로젝트 파이낸싱 전면 중단
지역주민 : 아파트 값 폭락으로 인한 재산 손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