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하상렬 기자] 펜데믹 이후 노동시장이 회복하는 과정에서 여성을 중심으로 고용이 증가하는 ‘she-covery(she+recovery)’ 현상이 우리나라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같은 여성 고용률 증가 흐름이 상당 기간 이어져 잠재성장률 제고에 긍정적인 영할을 줄 것이란 전망이 따른다.
| 사진=이데일리DB |
|
한국은행은 31일 ‘여성 고용 회복세 평가’라는 BOK이슈노트를 통해 “2020~2021년 중 남성에 비해 더 큰 폭으로 감소한 여성 취업자수는 지난해부터 빠르게 회복하면서 남성 취업자수 증가세를 추월했다”고 밝혔다.
경제활동인구조사에 따르면 2020년 1월 대비 올해 4월 고용률은 남성과 여성이 각각 0.3%포인트, 1.8%포인트 증가했다. 같은 기간 경제활동참가율은 남성이 0.5%포인트 감소했고, 여성은 1.3%포인트 늘었다.
이같은 증가 흐름엔 계층별 특징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20~30대 연령의 고학력자를 중심으로 고용이 늘었다. 30대와 20대 여성 고용률은 팬데믹 이전 대비 각각 4.4%포인트, 4.1%포인트 상승했다. 저학력 여성은 팬데믹 이전 수준에서 횡보하고 있지만, 고학력 여성의 고용률은 빠르게 회복하면서 팬데믹 이전 대비 2.5%포인트 올랐다. 혼인유무별로도 차이가 있는데, 기혼 여성이 미혼 여성에 비해 빠른 회복세를 보였다.
이는 팬데믹 이후 디지털 전환 등 산업별 노동수요 변화에 일부 기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상대적으로 20~30대 여성의 취업 비중이 높은 비대면 서비스업(정보통신, 전문·과학·기술), 보건복지 등에서 취업자수가 크게 늘어난 모습을 보였다. 또한 근로조건과 사회적 통념 변화도 영향을 미쳤다. 재택근무 등 유연근무제 확산으로 기혼 여성이 일과 가사·양육 간 균형을 도모할 수 있는 환경이 개선됐고, 남성도 보다 손쉽게 육아분담에 참여하게 되면서 부부 맞돌봄 문화가 확산됐다는 것이다.
한은은 이같은 여성 중심의 취업자수 증가 흐름이 앞으로 상당 기간 지속될 구조적 현상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중장기적으로 우리나라 잠재성장률 제고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분석했다.
오삼일 한은 조사국 고용분석팀 차장은 “20~30대, 고학력, 기혼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가 지속적으로 확대된다면 중장기적으로 노동공급의 양적·질적 확대로 이어져 잠재성장률 제고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며 “특히 생산가능인구 감소에 따른 노동력 부족 우려가 큰 상황에서 인구구조 변화의 부정적 충격을 완충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 출처=한국은행 |
|
다만 한은은 30~40대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줄어드는 ‘M자 커브’ 현상은 크게 개선되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오 차장은 “결혼, 출산, 육아로 특정 연령의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줄어드는 현상이 한국에선 나타나고 있는데, 주요 선진국 수준까지 개선될 여지가 여전히 많은 상황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