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전KDN은 전력시스템 운영, 한전원자력연료는 원자력 연료 설계·제조, 한전기술은 발전소 설계를 맡은 한전의 핵심 자회사다. 한전은 한전KDN 지분 100%과 한전원자력연료 지분 96.4%을 보유 중이다. 2009년 상장한 한전기술 지분 역시 65.77%를 갖고 있다.
한전은 재무 위기가 시작된 지난해 2022~2026년 재정 건전화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상장사인 한전기술 지분 중 경영권 유지에 필요한 51%를 뺀 14.77% 매각을 추진키로 했는데 이번 추가 자구안 마련 과정에서 다른 핵심 자회사 지분 매각 추진도 검토하고 나서는 것이다.
한전의 상황은 그만큼 나쁘다. 재작년 말 시작된 글로벌 에너지 위기에 따른 발전(發電) 원가 급등 여파로 올 상반기까지 2년 반에 걸쳐 47조원의 유례없는 누적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그에 따라 총부채 역시 지난 6월 말 기준 201조원까지 치솟았다. 한전은 그 사이 전기요금을 40%가량 올렸지만, 지난해 한때 평소보다 두 배 이상 오른 원가를 만회하기는 역부족이었다.
다만, 이 같은 추가 자구안을 추진하더라도 당분간 한전의 정상화는 어렵다. 지난 3분기 일시적으로나마 소폭의 영업이익 흑자를 기록할 전망이지만, 이미 쌓여버린 누적 적자를 단기간 내 해소할 수준은 아니다. 여기에 국제유가도 다시 들썩이고 있다.
지난 9월 말 취임한 김동철 신임 사장은 이에 당정에 요금 추가인상 필요성을 피력해 왔고 당정의 요구에 따라 추가 자구안 마련을 진행 중이다. 당정은 요금 인상을 논의하려면 국민이 납득할 수준의 뼈를 깎는 한전의 추가 노력이 우선이라는 입장을 고수해 왔다.
|
전기요금 결정은 원칙적으로 한전이 정부에 요청하면 주무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가 기획재정부와의 협의를 거쳐 이를 승인하는 방식으로 이뤄지는데, 실제론 당정의 협의까지 거쳐야 한다.
우리나라는 전기 가격을 용도별로 책정하는데, 한전이 공급하는 전기의 절반 이상은 산업용인 만큼 이를 올리는 것만으로도 한전이 재무개선을 하는 데는 큰 도움이 된다. 그러면서 주택용과 일반용(상업용)을 인상했을 때보다 상대적으로 서민 부담을 줄일 수 있다. 한전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전체 전기 판매량의 54%는 산업용이었다. 주택용은 15%, 일반용은 23%였다.
정부 관계자는 이와 관련 “전기요금 조정 여부와 대상, 수준을 관계부처·기관과 검토하는 중”이라며 “다만, 조정 방안은 아직 결정된 바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