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가 최근 공기관 신입직원 초임을 단계적으로 올리겠다는 방안을 내놨지만, 금융노조와 공공운수노조의 반발은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 금융계 "1년 늦게 입사했다고 1000만원 차이..형평성 문제"
|
이와 관련 고용노동부는 지난주 기존 직원의 임금 인상률을 낮추고, 2009년 이후 입사자의 임금 인상률을 높이는 `하후상박` 방식으로 격차를 점차 해소해 나가겠다고 제안했지만, 노동계의 생각은 달랐다. 신입들의 임금 삭감으로 유능한 인력들이 외국계 금융기관으로 빠져나가고, 갈수록 노동 생산성도 떨어지고 있다는 게 이들의 주장.
금융 노동계는 신임직원의 연봉 정상화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예정하고 있는 파업을 강행하겠다는 입장. 6일에는 2009년 이후 입사한 신입행원 3000여명이 참가하는 `신입직원 임금 원상회복을 주장하는 합동 결의대회`도 진행할 예정이다. ◇ 정부 "고임금 수위 조절" vs 금융노조 "단순 비교 안 돼" 금융계의 반발이 사그라지지 않는 궁극적인 이유는 `신임직원 초임 삭감`이 금융권 전체의 임금인상률 하락을 유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고용부는 2009년 이후 입사자의 임금은 7~8% 높이고, 2009년 이전 입사자의 경우 공기관 평균 임금인상률(4.1%)보다 0.5%p 정도씩 낮춰 2009년 이후 입사자들이 받은 상대적 불이익을 단계적으로 풀어가겠다는 계획. 기존 직원들의 임금을 깎아서 신입직원들에게 나눠줌으로써 부족한 임금을 보전하는 방식이다. 전체 직원의 90% 가량을 차지하는 기존 근로자들 임금 인상률을 낮춤으로써 공기관의 임금 인상률 속도 자체를 늦추고, 이를 통해 공공 금융기관과 민간 금융기관과의 임금격차뿐만 아니라 업종별 임금격차 문제도 해소하겠다는 의도도 담겨있다.
이에 대해 정용건 민주노총 전국사무금융노조 위원장은 "골드만삭스의 경우 수익의 40%는 주주배당하고 60%는 직원들이 가져간다"면서 "장시간 근로와 사회적 안전망 자체가 안된 상태에서 우리나라 노동자들의 임금구조가 왜곡돼 나타나는 차이를 무조건 금융노동자의 임금이 높다는 식으로 몰아가선 안된다"고 말했다.
정 위원장은 "신입 임금 강제 삭감 문제가 전반적인 금융 노동자의 임금 상승률 하락과 내부 갈등 등을 초래하고 있는 만큼 정상화가 이뤄질 때까지 지속적으로 투쟁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노-사 동상이몽.. 하반기 임단협 `가시밭길` 예고" ☞ "공기업들 삭감된 초임, 단계적으로 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