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 노숙인은 거리·광장 등을 10년 이상 떠나지 못하고 있었다. 이들은 약 80%가 공공·일반 근로를 통해 수입을 얻고, 건강상태는 좋다고 답했다. 또 무료급식이 가장 도움이 되는 지원으로 꼽았다. 그러나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구직난을 겪고 있고, 의료서비스와 사회복지시설 이용도 어려워 것으로 나타났다.
|
보건복지부는 7일 ‘2021년도 노숙인 등의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한국보건사회연구소가 지난해 5~7월 실시했고 지난 2016년 이후 두번째다.
실태조사 주요결과에 따르면 전국 노숙인 수는 8956명으로 2016년 대비 2384명(-21.0%) 감소했다. 노숙인 수를 거처유형별로 구분하면 거리 노숙 및 노숙인 이용시설이용자가 1595명(전체 17.8%), 노숙인 생활시설 입소자 수는 총 7361명(82.2%)로 조사됐다.
노숙인의 성별 비중은 남성 71.9%(6439명), 여성 27.8%(2493명)를 차지했다. 여성 거리 노숙인의 수는 2016년 대비 18명 증가한 146명으로 거리 노숙인 중 여성 비율이 2.8% 포인트 증가(6.4%→9.2%)했다. 쪽방 주민을 포함한 노숙인 등에선 남성 76.6%(1만 1036명), 여성 23.2%(3344명) 미상 0.2%(24명) 등이었다.
거리 노숙인의 경우 거리·광장(66.6%)에서 생활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지하 공간(17.7%), 공원·녹지(10.0%), 건물 내부(4.3%) 순이었다. 거리·광장의 평균 거주기간은 122.8개월이었다.
노숙의 주된 원인은 실직(42.4%)이었고, 사업실패와 이혼 및 가족해체도 각각 17.5%, 8.9%로 나타났다.
가장 도움이 된 지원은 거리 노숙인의 경우 무료급식(62.0%)과 긴급복지생계급여(10.3%), 노숙인 이용시설 이용자는 자활사업 및 공공일자리 참여(26.2%)와 무료급식(21.9%)이라고 답했다. 노숙인 생활시설 입소자는 복지시설 이용(29.3%), 국민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21.8%), 의료급여(15.2%) 등이었다. 쪽방 주민의 경우 생계급여(51.4%), 자활사업 및 공공근로(12.6%) 및 주거급여(10.9%) 등의 순이었다.
가장 필요한 지원은 전체 노숙인 등에서 소득보조(49.2%), 주거(17.9%) 및 의료지원(12.4%), 고용지원(6.8%) 등을 꼽았다.
|
노숙인 등의 음주 횟수는 월 1회 이상 26.4%, 월 2~4회 24.3%, 주 2~3회 29.6%, 주 4회 이상 19.7% 등이었다. 회당 1병 이상 2병 미만을 마신다고 답한 비율이 37.8%로 가장 많았다. 알코올 의존성 평가도구에 따른 문제성 음주 비율은 30.3%로 2016년(45.3%) 대비 15%포인트 감소했다.
노숙인 등은 주된 수입원이 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 등 공공부조나 기초연금이라고 답한 비율이 61.5%, 공공근로활동에 의한 소득이라고 답한 비율이 27.7%였다. 지난 1년간 월 평균 소득은 53만 6000원이었다. 가장 비중이 큰 지출은 식료품비 32.3%, 주거비 29.4%, 술·담배 14.1%, 생활용품비 9.9% 등의 순이었다. 또 전체 노숙인 등의 25.6%(2016년 35.5%)는 부채가 있다고 답했고, 평균 부채 규모는 3644만 4000원으로 2016년(6876만원) 대비 3232만원 감소했다.
노숙인 등은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어려움 정도를 5점 척도로 조사한 결과 일자리 구하기가 2.0점으로 가장 높게 조사됐다. 또 의료서비스 이용과 사회복지시설 이용 등이 각각 1.6점, 1.3점으로 높았다.
곽숙영 보건복지부 복지정책관은 “코로나19 감염병 확산이 노숙인의 일상생활에 미친 영향도 크다”며 “이번 실태조사가 노숙인 복지정책 수립·시행에 충실히 반영될 수 있도록 기존 노숙인 복지사업을 점검하고,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