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3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5.54로 전년동월 대비 1.0% 올랐다. 올해 소비자물가는 △1월 1.5% △2월 1.1% △3월 1.0% 상승하면서 3개월 연속 1%대 상승을 이어갔다. 지난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2개월 내내 0%대에 그쳤던 것과 대조적이다.
코로나19로 내수가 위축되며 소비자물가 상승률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예측과는 대조적인 수치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심리지수는 전달보다 18.5포인트 하락해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08년 7월 이후 가장 큰 하락 폭을 보였다. 2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소비자신뢰지수(CCI) 역시 OECD 국가들 가운데 한국이 가장 큰 폭으로 떨어졌다.
소비심리 위축에도 불구 농축수산물의 가격 상승이 물가 상승률을 이끌었다. 지난달 농축수산물은 3.2% 올랐다. 채소류 가격이 16.5% 올랐고, 축산물도 돼지고기(9.9%)와 달걀(20.3%) 등을 중심으로 6.7% 상승했다.
국제유가 폭락에도 석유류 가격은 6.6% 상승했다. 이는 지난해 상반기 정부의 한시적인 유류세 인하 조치의 기저효과가 작용했다. 안 심의관은 “국제유가 하락으로 2월 10.5% 상승과 비교해 상승폭이 둔화하는 효과가 있었다”고 말했다.
|
변동성이 큰 품목을 제외해 근원물가지수로도 불리는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지수는 전년동월 대비 0.4% 상승에 그쳤다. 이는 지난 1999년 12월 이후 20여년만에 최저 수준이다.
이처럼 근원물가가 떨어지면서 지난해 0%대 저물가에 이어 디플레이션(경기 침체로 인한 장기간의 물가 하락 현상) 우려도 제기된다. 앞서 지난달 한은 임시 금융통화위원회 회의록에서도 “경제 주체의 심리 위축이 실물경제를 침체시키는 악순환이 유발되고 있다”며 “코로나 사태가 거시적·총수요 충격으로 확대돼 이미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던 인플레이션이 더욱 낮아져 디플레이션 위험을 고조시킬 우려도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러한 우려에 대해 안 심의관은 “정부 정책과 경기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고 4월 개학 후 교육정책 영향이 추가 반영되면 근원물가가 더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면서도 “지난해 물가가 낮았기 때문에 물가상승률이 마이너스로 떨어질 가능성은 없다고 본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