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가 터지면 도와주는 `사후관리`에서 벗어나 위기 발생 이전에 위기 국가를 지원하는 시스템을 도입하겠다는 것이다.
CMIM는 ASEAN(아세안 10개국)+3(한중일) 국가들의 금융위기 시 달러 유동성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된 1200억불 규모의 다자간 통화스왑 체제로 지난해 3월에 발효된 바 있다.
윤증현 장관도 CMIM 역할 확대와 관련 “예방이 최선의 위기 방지책이라는데 인식을 같이 했다”면서도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실무적으로 해법을 찾아봐야 한다”고 밝혔다. 아세안 국가들의 합의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시사한 것이다.
윤 장관은 외환위기를 역시 겪었던 한국이 IMF와 아세안 국가들 사이에서 브릿지(가교) 역할을 해 합의를 유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재정부 한 관계자는 “`아세안+3` 13개국이 구체적인 안에 동의하기는 쉬운 일이 아니다. 과거 IMF에 의한 낙인효과(strigma effect) 때문에 어렵다"면서 “그러나 우리는 유럽이 지난 위기 과정에서 IMF의 도움을 받았듯이 IMF를 활용해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