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어 “피해 정도를 약, 중간, 강함. 이렇게 표현했을 때 강하다고 하는 부분이 약 4000㏊ 정도다”라고 덧붙였다.
최 교수는 “매미나방의 경우 모든 나무라고 하는 종류를 다 먹는다. 나무한테 가장 위험할 때는 애벌레일 때다”라고 말했다. 이어 “매미나방의 경우 애벌레일 때 털이 있다. 털에 조그마한 가시 같은 게 있는데 그 가시들이 날아다닌다. 그래서 날아다니다 보니까 아무래도 숲에서 활동하다 보면 조그마한 가시들이 우리 피부에 닿다 보면 결국은 가려움증이 생긴다”라고 말했다.
또 “성충인 경우에 암컷 같은 경우 하얀색을 띤다. 그런데 암컷을 잘못 만졌을 때 아이들의 경우에는 이거를 만진 손을 입으로 빤다든지 하게 되면 하게 되면 호흡기에도 약간 문제를 일으킨다고 알려졌다”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현재는 애벌레보다 성충이 많이 출현하고 있다고. 최 교수는 “날아다니는 성충들이 있다. 특히 낮에 날아다니는 매미나방의 경우 주로 수컷만 날아다닌다. 암컷의 경우에는 나무 주변에 주로 있다. 암컷이 수정을 한 다음에 알을 낳게 되는데 보통 이 알을 무더기로 낳아서 난개라고도 하는데 그 난개 주변에서 우리가 활동을 한다든지 거기에 손을 댄다든지 했을 때 암컷들이 알을 보호하기 위해서 거기에다가 독모라고 하는, 결국은 모성애를 발휘하는 거다. 모성애를 발휘한 털을 붙여놓는데 그게 사람들한테 알레르기를 일으킨다”라고 경고했다.
매미나방은 연 1회 성충으로 발생해 나무의 수피 등에 산란 후 알 덩어리 형태로 월동한 뒤 4월 중에 부화해 6월 중순까지 나무의 잎을 먹고 성장한다. 다 자란 유충은 보통 6월 중순부터 7월 상순에 번데기가 되고, 약 15일 후 성충으로 우화해 7~8일 정도 생활한다.
한편 산림청은 맞춤형 방제를 위해 성충기에는 포충기(유아등, 유살등)와 페로몬 트랩을 활용해 유인·포살하고, 산란기에는 알집(난괴) 제거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