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ppy spending"
30홍콩달러의 요금을 받아 쥔 택시기사가 제게 던진 인사말입니다. 2년전, 그러니까 제가 이 곳을 개인적으로 여행했을 때만 해도 아마 그 기사는 "enjoy your trip"이라고 말했을 겁니다.
저는 지난 1주일동안 홍콩의 한 금융기관에서 파생상품에 관한 연수를 받고 돌아왔습니다. 많은 분들이 홍콩에 자주 다녀오셨을 것이고 저 역시 처음은 아닙니다만 길지않은 시간 사이에 홍콩의 경제상황이 더욱 나빠졌음을 피부로 느꼈습니다. 경제상황이 더욱 나빠져 방황하는 홍콩인들의 모습이 무척 안타까웠습니다.
◇살인적 디플레와 경제위기 심화
홍콩 경제가 무너지고 있다는 것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곳은 바로 부동산 시장입니다. 홍콩의 면적은 서울과 그 위성도시를 합친 규모와 비슷하지만 실제 거주지역은 그 3분의 1에 불과합니다. 서울시의 반도 안 되는 좁은 땅에 무려 670만명의 인구가 살고있었으니 부동산 가격 상승은 필연적인 것이었죠. 반환과 경제위기를 겪기전 홍콩의 부동산 가격은 상상을 초월했습니다.
반환 직전인 97년과 5년 후인 지금을 비교해보면 부동산 가격 폭락이 어느 정도 인지를 알 수 있습니다. 홍콩 최고의 부자들이 사는 리펄스 베이 지역의 30평 아파트 가격은 97년 우리나라 돈으로 25억원에 달했지만 지금은 17억원대를 밑도는 형편입니다. 그나마 부자들이 많이 사는 동네라 가격 하락폭이 적을 뿐 대부분의 상가나 주거지 가격은 적게는 40%, 많게는 60% 이상 떨어진 상태입니다.
경제지표에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업률이 무려 8%대에 육박하며 소비자물가는 98년11월 이후 47개월 연속 하락행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길거리를 지나다보면 10홍콩달러(우리돈 약 1600원)짜리 상점들이 즐비합니다. 대부분의 이코노미스트들은 올해 홍콩 경제성장률이 높아야 1%대를 넘기기 어려울 것으로 내다보는 형편입니다.
1주일간의 홍콩 체류기간 중 제가 현지인들에게 가장 자주 들은 말은 앞서 말씀드린 "happy spending" 입니다. 상점의 종업원도, 택시 기사도, 심지어는 인터뷰를 마친 외국인 이코노미스트까지 같은 말을 하더군요. 외국 관광객들이 홍콩에 관광와서 많은 돈을 쓰고가지 않으면 살아남기 힘들다는 절박함이 담긴 표현입니다.
쇼핑천국이란 홍콩의 명성도 옛말이 돼 버렸습니다. 물론 센트럴이나 침샤추이와 같은 번화가 1층에는 어김없이 샤넬, 구치, 페라가모 등 값비싼 브랜드 숍이 줄줄이 입점해 있지만 실제 손님이 물건을 구입하는 모습을 찾아보긴 어렵습니다. 여름과 겨울에 한 번씩 실시되는 대 할인기간이 아닌데도 길거리를 지나가다보면 `crazy sale` `mega sale` 이란 문구를 크게 붙여놓은 상점들이 수두룩 합니다.
현지에서 일하고있는 한국인들도 같은 압박에 시달리고있습니다. 유럽계은행의 세일즈 파트에서 일하고있는 한 한국인은 "`이럴 줄 알았으면 한국에 그대로 남아있을 걸` 하는 후회 뿐"이라며 "상상 이상으로 분위기가 살벌하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대부분의 금융기관들이 대규모 정리해고를 시작했으며 내년 경제상황이 올해보다 안 좋을 것이란 전망 하에 인원 삭감 규모를 더욱 늘리고있다"며 "이대로 홍콩에서 겨울을 보낼 수 있을 지 자신할 수 없다"고 한숨을 쉬었습니다
◇미래에 대한 불안..중국에 대한 맹목적 의존
가장 심각한 문제는 현재의 경제위기가 아닙니다. 앞으로도 뾰족한 희망이 보이지않는다는 불안감이 홍콩을 휩싸고 있습니다. 반환 후 불과 5년이 지났을 뿐이고 법제상으로는 엄연히 홍콩과 중국은 `1국가 2체제` 로 운영되고있지만 이를 인식하는 홍콩인들을 만나기 어렵습니다. 이미 홍콩은 중국 사회로 완전히 귀속됐고 교통과 물류유통의 중심지라는 역할도 상하이에 뺏겼다는 패배감이 가득합니다.
홍콩에서 45분 거리에 있는 선전(심천)만 해도 과거에는 홍콩인들이 주말을 보내러 찾는 곳이었지만 이제는 구직난을 겪고있는 홍콩 젊은이들의 취업 관문 역할을 하고있습니다. 인구 700만의 대도시답지않게 홍콩에는 4년제 종합대학이 3개밖에 없습니다. 당연히 이 곳에 입학한 젊은이들은 최고의 수재 대우를 받고 아직까지는 별다른 어려움없이 생활할 수 있습니다.
문제는 전문대나 고등학교만을 졸업한 대다수의 젊은이들입니다. 이들이 취직하기란 하늘에서 별을 따는 것과 같습니다. 때문에 전문대를 졸업한 젊은이들이 울며 겨자먹기로 선택한 곳이 바로 선전입니다. 선전에서 일할 경우 홍콩에서 일할 때 보다 3분의 1 수준에 불과한 월급을 받지만 아무런 불평없이 이를 감수한다는군요. 선전에 일자리를 가지고있는 홍콩인들은 물가가 홍콩보다 싼 그 곳에서 모든 의식주를 해결하고 주말에만 홍콩으로 돌아와 가족과 지내는 이산가족 생활을 합니다.
불안감은 필연적으로 의존대상을 낳습니다. 홍콩인들이 마지막 구명줄을 잡는 심정으로 매달리고 있는 대상은 바로 중국입니다. 중국 경제의 성장 가능성 및 정치지도자들에 대한 홍콩인들의 신뢰는 맹목적이라고 표현할 수 있을 정도로 높습니다. 한 홍콩인은 "경제난의 모든 책임을 `페그제`에 떠넘기고 중국 경제성장에 홍콩의 미래가 달려있다고 얘기하는 것을 어디서나 들을 수 있다"며 "홍콩자치구 행정수반인 등젠화가 누구인지도 모르는 이가 수두룩할 정도로 정치에 무심한 홍콩인들이지만, 현재 치러지고있는 중국 공산당 전당대회에 대한 관심은 매우 높다"고 귀띔했습니다.
다국적 금융기관에서 일하는 파란 눈의 외국인들도 마찬가지입니다. 저는 홍콩 체류기간 중 많은 투자은행 관계자와 이코노미스트를 만날 수 있었습니다. 미국 경제의 회복 가능성에 대해서는 하우스별로 찬반 여부가 엇갈렸지만 공통적으로 일치하는 대목은 중국 경제성장에 대한 확신이었습니다. 중국정치인들이 성공적으로 자본주의를 정착시킨 대목에는 칭찬이 빠지지 않았습니다. 홍콩 뿐 아니라 전 세계 경제가 중국만 바라보고 있는 게 아닌가 하는 착각마저 들었습니다.
◇남아있는 불안한 나날..그리고 기약없는 기다림
물론 대다수 홍콩인들은 아직까지 여유를 잃지않으려 애쓰는 모습입니다. 아직까지 금융시스템이 건전하고 공무원들의 청렴도가 높으며 동아시아의 허브 기능이 한 순간 사라지기 어렵다는 믿음에서죠. "중국경제가 발전할수록 대부분의 외국기업이 홍콩에 본사를 두고 상하이에 지사를 둘 것"이라며 "홍콩의 앞날은 아직 밝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들의 기대가 실현되려면 생각 이상의 많은 시간이 흘러야한다는 반론도 만만치않습니다. 많은 금융기관과 제조업체들은 이미 중국 본토로 떠났고 홍콩산업의 상당부분을 차지했던 여행수입의 경우 본토 중국인 관광객수만 크게 늘어 통계상으로 경상수지 흑자 증가를 유도하긴 어렵습니다. 80년대 아시아를 휩쓸었던 홍콩 연예산업도 스타들의 집단적인 이탈과 한류 열풍(홍콩의 한류 열풍은 타이완이나 베트남 못지않습니다.^^) 등으로 기반이 크게 취약해진 상태입니다.
`동양의 진주`가 과거의 화려한 시절로 돌아가기 위해서는 상당기간 암울한 나날들을 보내야할 것이란 느낌을 지울 수 없는 건 왜일까요. 빅토리아 피크에서 내려다본 100만달러짜리 야경이 과거에 비해 초라하다는 생각을 가진 사람은 저 하나만이 아닐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