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에 따르면 시민 제안은 총 522건이 접수됐고 이 중 국가상징공간 조성에 찬성하는 응답이 59%(308건), 반대 응답은 40%(210건), 기타 1%(4건)로 집계됐다.
이번에 제안안을 낸 시민들은 국가상징공간 조성에 적합한 상징물로 태극기(215건·41%)를 가장 많이 제시했고, 이 밖에 무궁화(11건), 국새 (2건), 애국가 (1건) 등을 지목했다. 또 훈민정음, 소나무, 6.25 참전국 국기, 독도 등 의견이 제시됐으며 각 지방을 대표하는 상징물을 콘텐츠로 제작해 전시하자는 의견도 있었다.
상징물 디자인 관련해서는 미디어아트 작품이나 빛조형물을 활용해 광화문광장을 예술성을 겸비한 공간으로 만들자는 제안, 국기게양대 형태의 미디어폴을 비롯해 키네틱 아트 등 예술적 조형미를 살린 상징물을 만들자는 제안 등이 있었다.
이에 대해 오 시장은 “최첨단 디지털 미디어 기술이 구현된 형태는 세계적으로 주목받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호평하면서도 “미디어 기술이 계속 발전함에 따라 10년~20년 만에 시대에 뒤떨어질 수 있다는 게 고민이다, 50년 뒤에도 상징성을 유지하는 좋은 아이디어를 낸 작품이 선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서울시는 국가상징공간을 자유민주주의와 인류평화를 주제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오 시장은 “1950년 한국이 어디 있는지도 모르면서 자유를 지키기 위해 달려와 준 청년들의 희생과 헌신이 없었다면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가 가능했겠느냐”며 “이들의 희생을 주제로 상징물을 만든다는 게 추진 방향”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유 부시장은 “6.25 국난 극복에 도움을 준 22개 국가와 실시간 소통함으로써 전 세계 시민과 기억을 공유하는 공간으로 만들 것”이라며 “국가상징공간 조성이 현재 광화문광장 주변과 조화를 해친다는 우려를 해소할 수 있도록 꾸준히 소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상징공간 조성에 반대하는 입장 역시 적지 않다는 지적에 대해 오 시장은 “요즘같이 정치적인 견해가 양극화된 시대에 40%가 그렇게 높은 비율인지 의문”이라며 “처음에 계획을 높은 태극기 게양대로 설명한 과정에서 생긴 의견의 흐름이 있는 것 같다. (계획의 취지를)충분히 설명 드리면 오해는 상당히 풀릴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이번 국가상징공간 시민 의견 수렴 결과에 대해 전문가 자문과 열린광장운영시민위원회 심의를 거치고, 이를 바탕으로 지침을 마련해 내달 설계 공모를 추진할 예정이다. 설계 공모 후에는 올 12월 기본 및 실시설계에 착수한 뒤 2025년 5월 본격적인 공사 착수, 2025년 9월에 준공한다는 계획이다.
유 부시장은 “국가상징공간 조성 완료까지 시민·전문가 등 각계각층의 목소리를 경청하고 국가건축정책위원회와 국토교통부 등 관련 기관과도 긴밀하게 협력해 광화문광장에 걸맞은 상징조형물을 조성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