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4분기에만 대출 규모는 1조1779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3309억원(32.0%) 줄었다. 대출 건수는 6만9939건으로 2만1763건(23.7%) 감소했다.
민간 중금리대출은 중·저신용자에 대한 자금 공급을 원활하게 하고, 금리단층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지난 2016년 도입됐다. 신용차주 하위 50% 차주를 대상으로 업권별 금리 상한 요건을 충족하는 신용대출이다.
저축은행 업계는 지난 2022년 레고랜드 사태 이후 자금 조달을 위해 경쟁적으로 고금리 수신경쟁에 나서면서 이자 비용이 급격히 상승해 수익성이 악화됐고, 연체율도 상승했다. 이에 대출 문턱을 높이면서 중금리 대출도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3분기 저축은행업권의 당기순손실은 1413억원 규모로 지난해 1분기부터 3분기 연속 적자를 내고 있다.
다른 제2금융권도 금리 상한 한도에 도달하며 여력이 없는 상태다. 올 상반기 상한 금리는 상호금융이 10.50%, 카드사 12.25%, 캐피탈 15.50%로 정해졌다. 카드사는 지난해 하반기 12.14%에서 0.11%포인트 상승하며 상한선(13.00%)에 가까이 다가선 상태다.
여기에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의 위협 요소가 증가하면서 건전성 관리가 부각하는 점도 부담이다. 이런 탓에 제2금융권은 올해도 대출문턱을 높게 유지할 것으로 관측된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비은행 금융기관 가운데 생명보험사를 제외하고 대출에 강화된 기준을 이어갈 방침이다. 상호저축은행은 대출행태지수는 -32에서 -25, 상호금융조합은 -31에서 -29, 신용카드사는 -28에서 -6을 기록했다. 대출행태지수가 ‘+’면 완화된 태도를, ‘-’면 강화된 태도를 의미한다.
금융권 관계자는 “지난해 저축은행업계가 수익성 악화로 여·수신을 모두 줄이며 건전성 관리에 집중했다”며 “부동산PF 등 올해도 건전성 위주의 영업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