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6월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가계부채(가계신용통계 기준)는 2014년 8월 이후 빠르게 증가해 2015년 3월 말 기준 1099조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7.3% 큰 폭으로 증가했다.
가계부실위험지수(HDRI)가 100을 초과하는 위험가구 현황을 살펴보면, 위험가구 수는 금융부채를 보유한 가구 수(1090.5만 가구)의 10.3%에 해당하는 112.2만 가구며, 이들이 보유한 위험부채 규모는 약 143.0조원으로 추정됐다.
최근 가계 부문 부실위험 변화 추이를 살펴보면 가계부문위험지수는 소폭 상승(2013년 52.0 → 2014년 56.2)했으나 가계 부실이 금융기관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는 가계대출 위험지수는 다소 하락(88.7 → 80.0)했다.
금융부채가 많은 가구는 향후 국내 금리 인상이나 주택 가격 상승 등 거시 충격에 더욱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리가 100bp(1%), 200bp(2%) 및 300bp(3%) 상승할 때 위험가구 비율은 10.3%에서 각각 11.2%, 12.7% 및 14.0%로 높아지고, 위험부채 비율은 19.3%에서 21.6%, 27.0% 및 30.7%로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 관계자는 “위험부채 규모가 위험가구 수에 비해 금리 상승 충격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은 보유 부채규모가 큰 가구일수록 금리 상승으로 인한 원리금상환 부담이 가중돼 위험가구로 편입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주택가격이 5%, 10% 및 15% 하락 시 위험가구 비율은 각각 11.1%, 12.0% 및 13.0%로 상승하며 위험부채 비율은 각각 21.5%, 25.4% 및 29.1%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금리가 200bp 상승함과 동시에 주택 가격이 10% 하락하는 복합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위험가구 비율은 14.2%로, 위험부채 비율은 32.3%로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한은 관계자는 “무리한 차입을 통해 주택을 구입하는 등 소득 기반이 열악한 가구가 금리 상승 및 주택가격 하락 충격에 상대적으로 크게 취약한 것으로 분석됐다”며 “거시적 관점에서 가계부채 수준 및 증가 속도를 관리하는 한편 미시적 관점에서도 가구 특성별 가계 부실위험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