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령별로는 20대의 경우 감소폭이 전체의 1.3%인 29만9000원에 달했다. 60대 이상의 3만6000원(0.2%)에 비해 8.4배나 줄어든 것이다. 30대도 20만4000원(2.4%)에 달하는 금액을 줄였다. 2021년 이후 기준금리가 3%포인트 인상됐다는 점을 감안하면 20대는 89만6000원(2.96%), 30대는 61만3000원(32.4%)만큼 소비를 줄인 것이다. 원리금 상환에 추가로 지출되는 금액도 청년층의 경우 소득의 3.3%을 더 쓰는 반면, 60대 이상은 1.2% 증가하는 데 그쳤다.
부채를 많이 보유한 청년들은 허리띠를 더 졸라맸다. 기준금리 1%p 인상에 따라 부채보유 상위 50% 청년의 연간 소비는 26만4000천원(1.1%) 줄어들었다. 부채를 보유하지 않은 청년의 연간 소비 감소폭 2만4000원(0.1%)과 비교하면 약 11배에 달한다. 부채보유 하위 50% 청년층의 경우 약 7만 6000원(0.3%) 감소했다.
빚을 진 청년들 중에서도 소득수준이 낮거나 저신용층일 경우에는 소비를 상대적으로 많이 줄였다. 기준금리 1%p 인상에 따라 부채보유 상위 50% 청년 가구 중 저소득층의 연간 소비 감소폭은 약 27만9000원(1.2%)에 달하는 반면, 고소득층의 소비 감소폭은 약 9만2000원(0.3%)에 그쳤다.
청년들의 빚 부담이 증가한 배경에는 최근 주거 관련 대출을 중심으로 부채가 빠르게 늘어난 게 자리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한국을 비롯한 전 세계 주요국들이 기준금리를 낮은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전세가격 상승으로 이어졌기 때문이다.
부채상환 부담이 청년층에 크게 가중되는 상황에서 정부의 지속적인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는 진단도 나왔다. 특히 부채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주거 문제를 안정적으로 관리해줘야 한다는 지적이다.
김미루 KDI 경제전망실 연구위원은 “생애주기 관점에서 보면 청년층의 경우 향후 소득이 점차 증가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현재 소득과 함께 미래 소득도 DSR 등의 대출 규제에 반영될 필요가 있다”면서 “한계상황에 직면한 청년 차주에게 기존 채무를 장기 분할상환 대출로 전환할 기회를 확대해 단기 상환부담을 경감하고 장기간에 걸쳐 상환할 수 있도록 보조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