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90년대말 외환위기에 이어 최근의 국제 금융위기까지 겪은 터라 아시아 역내의 다자 안전망 구축의 의미는 더욱 크다.
이 체제는 당초 아세안 5개국과 한중일 등 8개국의 양자간 통화스왑에서 발전해 아세안 5개국이 더해진 13개국이 참여하는 다자화 단일 계약체제로 확대됐다. 지원규모 역시 종전 780억달러에서 1200억달러로 늘어났다.
하지만 지난해 불어닥친 금융위기로 아시아 지역내 `금융안전망 역할`에 CMI의 방점이 찍히면서 한, 중, 일 등 주요 3국은 `더 많이 내고 덜 받아가는` 구조로 바뀌었다.
중국과 일본은 각각 384억달러를 지원하지만 위기가 닥칠 경우 지원금의 절반인 192억달러만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대해 정은보 기획재정부 국제금융정책관은 "중국과 일본이 많이 줄고, 한국은 조금 줄어들지만 아세안 10개국은 혜택이 많이 늘어나는 구조"라며 "글로벌 금융 안전망의 주요 축이 될 수 있는 지역적 안전망을 만드는 게 중요하며, 글로벌 불균형 문제를 예방하는 효과도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원칙적으로 일본과 100억달러, 중국과 40억달러 등 우리나라가 위기시 맺은 양자간 통화스왑은 만료될 경우 CMI체제로 흡수 편입된다. 다만 중국, 일본 등 평상시 맺은 양자간 통화스왑은 그대로 유지되며 만료시 양국간 별도의 논의를 거쳐 연장 여부를 결정한다. 현재 우리는 일본과 200억달러(원화-엔화 베이스), 중국과 260억달러(원화-위안화 베이스)의 통화스왑을 체결하고 있다.
한편, CMI다자화 체제의 역내 감시기구는 빠르면 내년 5월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열리는 재무장관회의에서 결정된다. 현재 아세안 국가중 태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 3개국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정은보 정책관은 "회원국들에 대한 재무적 감시 기능은 역내 감시기구가 맡게 될 것이며, 자금지원 결정은 각 회원국들이 모여 결정하는 구조"라며 "별도의 사무국을 둘 계획은 현재로서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