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 노태우 당시 대통령은 주한미군을 서울 밖으로 옮기고 용산에 민족공원을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밝힌다. 2018년 주한미군이 경기 평택시로 주둔지로 옮기면서 국가공원 1호인 용산공원 조성 사업이 비로소 궤도에 올랐다.
‘금단의 땅’이던 서울 용산구 옛 주한미군기지가 140년 만에 국가공원으로 국민 품에 돌아온다. 서울 한가운데서 역사와 자연을 함께 즐길 수 있는 장소가 됐다. 안전성 논란은 넘어야 할 벽이다.
‘일본군→미군→국가공원’ 용산 역사 그대로
다음으로 관람객을 맞을 곳은 미군 장군숙소다. 1950년대 미국에서 유행하던 단층 전원주택 양식으로 지어졌다. 일부 숙소는 일본군이 쌓아놓은 석축 위에 지어져 용산공원이 겪은 풍파를 표상한다. 요새 찾아보기 힘든 나무 전봇대도 용산공원 곳곳에 남아 있다. 건물 자체가 이국적인 데다가 주변에 높은 건물이 없어 사진을 찍으면 잘 나온다는 게 해설사 설명이다. 지금은 실내까진 들어갈 수 없지만 9월부터는 일부 건물을 개방할 예정이다.
장군 숙소 앞으로 뻗은 플라타너스 길도 장관이다. 오랫동안 개발에서 한발 비켜서 있었던 만큼 하나같이 아름드리로 자라있다. 이 길을 걸으며 까치와 꿩 등 새 지저귀는 소리를 들으면 도심 속에서도 자연을 즐길 수 있다.
|
용산공원 내 장군숙소와 스포츠필드 등 10만㎡ 부지는 10일부터 열흘간 일반 국민에게도 시범개방된다. 하루에 500명씩 관람할 수 있다. 용산공원이 일반 국민에게 개방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다만 관람시간은 혼잡도 등을 고려해 두 시간으로 제한한다. 9월부터는 관람 가능 구역을 40만㎡로 넓혀 임시개방한다.
|
김복환 국토부 용산공원조성추진기획단장은 “다이옥신이 학교 부지에서 조금 나왔는데, 그 농도는 1년에 공원을 12.5일 간다고 할 때 약 25년 동안 1만 명 중 약 3명 정도가 암이 걸릴 확률”이라고 했다.
다만 현재 공원에서 진행되고 있는 작업은 오염원을 완전히 없애는 게 아니라 농도를 낮추거나 관람객 노출을 최소화하는 작업이다. 국토부는 토양 완전 정화는 용산공원 부지가 완전히 반환된 후에 진행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