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는 지난 3월 8일~11일 기후동행카드 이용자 282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15일 발표했다. 조사결과 이용자의 4%, 127명이 ‘상시 이용하던 승용차 대신 대중교통을 많이(월 20회 이상) 이용했다’고 응답했다.
전체 응답자 중 56.2%인 1586명은 승용차를 보유하고 있었다. 이 중 230명(14.5%)은 평일 출퇴근 등 승용차 상시이용자였다. 이들 중 225명(97.8%)는 기후동행카드 구매 후 승용차 대신 대중교통을 이용한 경험이 있다고 밝혔고, 이 가운데 127명(56.4%)가 월 20회 이상 승용차 대신 대중교통을 이용했다고 답했다.
시는 ‘기후동행카드’ 평일 사용자가 평균 50만 명임을 감안했을 때 4%에 해당하는 약 2만 명이 월 20회 이상 승용차 대신 대중교통을 이용한 것으로 추정했다. 윤종장 서울시 도시교통실장은 “독일의 (대중교통 무제한 이용권인) 49유로(도이칠란드 티켓) 시행 이후 승용차를 전혀 이용하지 않은 사람이 약 8%”라며 “장기적으로 이정도의 대중교통 전환효과를 달성해야 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일 평균 2만 명이 승용차 대신 대중교통을 이용했다면 승용차 운행량도 하루 1만1000대 가량 줄어들었다는 게 시 측 분석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 1대에서 발생하는 연간 온실가스 발생량이 1.96t임을 감안할 때 ‘기후동행카드’를 통해 두 달만에 약 3600t의 온실가스를 감축한 셈이라는 설명이다. 이는 수령 20년산 가로수(낙엽송, 편백, 상수리나무 등) 약 43만 그루의 온실가스 감축 효과와 동일하다.
시는 이번 설문조사를 시작으로 향후 서비스 및 제도 변화에 따라 이용패턴 또한 변화할 것으로 보고 추후 정확한 효과성 분석 등을 위해 서울연구원과 추가 설문조사를 추진할 계획이다.
1인 월평균 3만원 절약…환승시간 등 구애 없이 사용
기후동행카드 사용으로 절감한 교통비는 1인 월평균 약 3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20대 2만9000원 △30대 2만7000원 △40대 2만8000원 △50대 3만1000원 △60대 3만5000원이었다. 지난 2월 26일부터는 만 19~34세의 청년은 월 7000원 추가할인하므로 청년의 경우 3월 이후 절감효과는 더 크다고 볼 수 있다.
서울시는 ‘기후동행카드’와 문화·공원시설 입장료 할인 연계, 관광객을 위한 단기권 도입, 인접 지자체로의 서비스 범위 확대 등 다양한 지원 및 제도 개선을 앞두고 있다.
시는 향후 기후동행카드 관련 매년 1500억원의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봤다. 일단 올해 본사업을 위해 최대 1000억원의 추경 재원이 필요할 것으로도 관측했다.
윤 실장은 “5월부터 K패스가 시행되는데 그 예산이 이미 본예산에 반영돼 있다. K패스와 기후동행카드를 동시에 쓰기 어려우므로 K패스 예산 중 절감폭을 같은 대중교통 지원금인 기후동행카드 예산으로 쓸 수 있도록 관계부서와 협의할 것”이라며 “수도권 주민에 대한 교통복지 측면이 있으므로 정부에서 열린 마음으로 검토해 국비지원이 가능하도록 계속 요청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기후동행카드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은 물론 대중교통 이용이라는 착한 습관으로의 변화로 경제적·환경적 이익을 창출하고 있다”며 “생활전반에서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확대하고 제도를 개선해 지속가능한 교통패스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