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IMF의 ‘한국의 기업부채 구조조정 편익과 비용 추정’ 보고서는 2014년부터 2016년까지 3년 연속으로 이자보상배율이 1 이하인 한국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부채 구조조정의 편익과 비용을 추산했다.
이자보상배율은 기업이 벌어들인 돈(영업이익)을 갚아야 할 이자(이자비용)로 나눈 지표다. 이자보상비율이 1보다도 작을 경우, 벌어들인 돈으로 부채가 아니라 이자조차 갚지 못한다는 뜻이다.
IMF는 이들 기업의 이익이 2014년 기준 전년보다 10% 떨어진다고 가정했을 때 조선업을 포함한 제조업과 해운업, 건설업 등에서 위험에 처하는 부채는 국내총생산(GDP)의 12~14%, 위험에 처하는 일자리는 1.9~2.1%에 각각 이를 것으로 분석했다.
여기에 대부분 산업의 부도손실률(LGD)을 40%로, 취약산업은 50%로 가정했을 때 기업부채 구조조정 시 채권자 손실은 GDP의 5.5~7.5%, 고용영향은 0.4~0.9%에 달할 것으로 계산했다.
또 조선업 구조조정에서 고용에 영향을 받는 인력의 규모는 1만명으로 추정됐다. 일각에서 2만명에 달할 것으로 관측한 것보다 훨씬 적은 규모다.
IMF는 기업부채 구조조정이 궁극적으로 한국 경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구조조정 이후 한국의 GDP 성장률은 연 0.4~0.9%포인트 높아지고, 고용은 연 0.05~0.1% 증가하는 효과가 날 것이라는 설명이다.
이처럼 구조조정 효과가 중기적으로 나타남에 따라 앞서 구조조정에 들어간 일회성 비용은 10년이면 만회가 가능할 것으로 IMF는 내다봤다.
한편 IMF는 한국 기업들의 부채비율이 국제 기준에 비해 높다고 지적했다.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한국의 지난 1분기 기준 GDP 대비 비금융기업 부채비율은 105.9%로 19개 신흥국 중 홍콩(211.1%), 중국(169.1%)에 이어 3위 수준이었다. 호주·인도·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태국 등 다른 아시어태평양 지역 국가들과 브라질·멕시코·터키·폴란드 등 대형 신흥국의 기업 부채비율은 40~70%로 한국에 비해 현저히 낮다.
고속성장 끝에 글로벌 경제 성장 둔화에 직면한 수출 중심의 한국 경제는 기업부채 구조조정에 따른 편익과 비용을 추산하기에 적당한 국가라고 IMF는 설명했다.
그러면서 한국 경제는 조선·해운업이 특히 영향을 받고 있고, 글로벌 경제 둔화가 심화한다면 철강과 화학업도 타격을 받을 것으로 내다봤다. 아울러 자동차나 전자 등 기술집약적 산업은 글로벌 경쟁 격화에 직면해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