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 신하영 기자] 정부가 2026년까지 디지털 인재 100만명을 양성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초중고 단계에서 정보교육을 확대하고 대학 첨단학과 정원을 늘리는 게 골자다. 교육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고용노동부·산업통상자원부 등 관련 정부 부처는 이러한 내용의 ‘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을 22일 발표했다.
정부는 오는 2026년까지 디지털 신기술 분야에서 약 73만8000명의 인력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는 향후 인력 수요가 더 늘 것으로 보고 2026년까지 고졸·전문학사 16만명, 학사 71만명, 석·박사 13만명 등 총 100만명의 디지털 인재를 양성할 계획이다. 오석환 교육부 기획조정실장은 “산업·사회 전 영역에 걸쳐 디지털 인재를 필요로 하고 있어 수요는 더 커질 수 있다”고 했다.
초·중등 단계에선 정보교육이 강화된다. 정보교육은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Computational Thinking)을 키워주는 교육으로 소프트웨어·인공지능 관련 교육을 통칭하는 개념이다. 과학계는 알고리즘에 대한 이해와 이를 프로그래밍 언어로 구현하는 능력이 수반돼야 인공지능·메타버스 시대에 대비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컴퓨터 언어를 이용해 프로그램을 만드는 ‘코딩’ 능력은 인공지능(AI)·소프트웨어 등 첨단 분야에서 활용도가 커지고 있다. 교육부는 초·중등 단계에서 정보교육을 확대하고 이를 통해 길러진 컴퓨팅 사고력을 바탕으로 원하는 작업을 컴퓨터가 수행하도록 학생들에게 프로그래밍 언어를 교육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정보교과 교원 수요도 커질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 관계자는 “단기적으로는 기간제교원이나 전문 강사를 활용하고 중장기적으로는 교원수급계획에 이를 반영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했다.
대학의 디지털 첨단분야 정원 증원도 추진한다. 인공지능(AI)·소프트웨어·빅데이터·메타버스·클라우드·사물인터넷 등 8개 분야가 대상이다. 반도체와 마찬가지로 교원확보율만 충족하면 심사를 통해 증원을 허용하겠다는 의미다. 지금까진 대학이 정원을 늘리려면 교사·교지·교원 등 4대 요건을 100% 충족해야 했다. 앞으로는 교원확보율만 충족하면 정원을 늘릴 수 있게 된다.
대학 입학 후 5년 6개월 만에 박사학위까지 취득하는 학·석·박사 통합과정도 신설한다. 지금까지는 학·석사 또는 석·박사 통합과정만 운영이 가능했다. 교육부는 고등교육법 개정을 통해 학·석·박사 통합과정 신설을 추진하기로 했다. 김태경 교육부 대학학사제도과장은 “박사학위를 가진 고급인력을 조기에 배출하기 위해 학사제도 유연화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