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 상하이 등 주요도시, 기존주택을 중심으로는 중국 정부의 과열 억제 조치의 약발이 먹혀들고 있는 한편, 부동산 거품이 2선, 3선도시로 전이되면서 금융위기 이전 미국과 비슷한 상황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는 것.
23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개발업자가 아닌 주로 시장의 수급에 따라 결정되는 기존주택의 가격은 금리와 계약금 기준 인상에 따라 상승세가 둔화됐다. 중국의 지난달 기존주택 가격은 조사대상인 70개 주요도시 중 23곳에서 떨어졌다. 4월에 16곳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가격 하락세가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신규주택은 상황이 다르다. 지난달 중국의 신규주택 가격은 조사대상인 70개 도시 중 67곳에서 올랐다. 주로 개발업자들이 아직 가격을 인하하지 않은 우루무치, 단둥 등의 중소도시를 중심으로 인상이 이뤄졌다.
지난해 중국의 부동사 투자액은 국내총생산(GDP)의 6.1%에 달한다. 씨티그룹에 따르면 이는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가 일어나기 전인 2005년 미국과 비슷한 수준이다. 씨티그룹은 부동산 시장을 진정시키려면 중국이 GDP 성장률의 1~1.5%를 희생해야한다고 분석하기도 했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도 지난 15일 중국 부동산 개발회사들에 대한 전망을 하향 조정했다. 부동산 거품에 대한 우려 때문이다.
홍콩 다이와증권의 쑨밍춘 이노코미스트는 "중국의 집값이 안정세를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하락세로 돌아설 만한 상황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다른 한편에선 중국 부동산 거품의 위험이 중국인들의 소득 증가와 역사상 유례가 없는 빠른 도시화에 의한 것일 뿐, 단지 과장된 것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중국 정부의 대응에 대한 신뢰도 깔려있다.
스티븐 로치 모간스탠리 아시아 회장은 최근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거품이 절대 나타나지 않으리라고 말할 순 없다"면서도 "중국 정부는 서구와 달리 문제가 되기 전에 거품을 가라앉히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