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국방위원장의 사망 후 52시간이 지나도록 사실 확인을 못했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는 것. `대북 정보라인이 완전히 붕괴됐다`, `정부의 대북 정보는 인터넷 검색 수준이다`와 같은 강도 높은 질책들이 쏟아졌다.
이날 오전 9시부터 비공개로 열린 정보위원회에서는 국가정보원에 대한 집중 추궁이 이어졌다. 국정원이 북한의 발표 이후에야 상황을 파악한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
국회 정보위원장인 권영세 한나라당 의원은 국정원의 현안보고를 받은 후, "미국, 러시아, 일본 등 주변국도 북한 측 발표를 본 뒤 비슷한 시점에 알았다고 한다. 다만 중국은 구체적으로 확인할 순 없지만, 북한 측 발표 이전에 알았다고 할 만한 징후가 있다"고 전했다.
오전 10시부터 진행된 외교통상통일위원회 전체회의도 마찬가지였다. 여야 의원 구분 없이 정부의 정보력 부재를 질책했다. 이회창 자유선진당 의원은 "국정원도 즉각 파악을 못한 것으로 나오는데 정보기관이 아니라 잠자는 기관"이라며 "장관들께서 아셨다면 대통령이 일본가고 이런 일은 없었을 것이다. 국민들이 대단히 불쾌한 생각을 갖고 있다"고 질책했다.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과 류우익 통일부 장관이 김 국방위원장의 사망을 언제 알았느냐는 질문에 "정보사안이라 말씀드리기 어렵다"고 답한 것을 꼬집은 것.
구상찬 한나라당 의원 역시 "정보당국의 정보 수집력은 해도해도 너무한다. 정보당국은 반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명박 대통령이 미국, 일본, 러시아 정상과는 통화를 했는데 중국 정상과는 통화를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한중 외교에 큰 문제가 있는 것 아니냐"고 따져 묻기도 했다.
한편, 이날 국방위원회에 참석한 김관진 국방부 장관 역시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사망 소식을 뉴스를 통해 알았다고 인정했다.
김 장관은 "현재 정보 체제로는 김정일 사망 소식을 알기가 제한된 면이 있었다"며 "우리 정보 능력을 확장해야겠다는 절실한 필요를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