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 성인인 A씨는 지난 2001~2002년에 걸쳐 테니스 코치였던 B씨로부터 4차례에 걸쳐 성폭력 범행을 당했다. 범행 당시 A씨는 10세였다. 그러다 지난 2016년 5월 A씨는 우연히 한 테니스 대회에서 B씨를 마주치게 됐고 사건 당시 기억으로 극도의 충격을 받았다. 2개월 후 A씨는 병원에서 PTSD 진단을 받았다.
형사고소 이후 A씨는 B씨에게 위자료 1억 원의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냈다. 1심에선 B씨의 변론이 없어 A씨가 승소했다. 2심에 이르러서야 B씨 측은 범행일을 기준으로 손해배상채권의 소멸시효가 지났기 때문에 청구권이 없다고 주장했지만 재판부는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다.
대법원은 “성범죄 당시나 일부 증상의 발생일을 일률적으로 손해가 현실화된 시점으로 보면, 피해자는 장래의 손해 발생 여부가 불확실해 손해배상을 청구하지 못하고, 장래 손해가 발생한 시점에서는 소멸시효가 완성돼 손해배상을 청구하지 못하게 되는 부당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며 “전문가로부터 성범죄로 인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가 발현되었다는 진단을 받은 때부터 소멸시효가 진행된다고 보는 게 타당하다”며 상고를 기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