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어 “부동산은 자산 운용의 문제, 유동성 문제다. 윤 의원이 (임대차 3법이) 이렇게 가면 자식에게 (주택을)증여하거나 조카에게 관리 비용만 주고 줄 거라고 했다. 그 이야기는 전세자금 운용의 자산 운용 수익을 포기한다는 건데 그럴 리가 있겠냐. 더군다나 그 자식이나 조카가 자기 집에 들어오면 그 사람들이 살던 집이 다시 시장에 전세값으로 나올 거다”라고 했다.
또 “전월세 보호 대책을 세운다고 해서 전세가 줄어든다는 건 경제학자로서 할 수 없는 이야기다”라고 비판했다.
이어 “그래서 부동산 가격이 오를 때는 당연히 전세가 유지되는 거다. 부동산 가격이 내려가거나 정치 국면에 빠지면 전세가 줄어든다. 예를 들어서 2008년 리먼브라더스 사태가 나고 나서 이명박, 박근혜 정부 기간 동안에 최경환 장관의 빚 내서 집 사라고 하기 전만 해도 전세가 월세로 많이 전환됐다. 그 이유가 뭐냐 하면 하나는 리먼브라더스 사태 이후 부동산 시장이 직격탄을 맞으면서 전세보증금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소위 추가 주택 구입의 메리트가 떨어진 거다. 그러니까 월세로 전환했다”라고 설명했다.
김 전 원장은 여당 의원의 ‘전세보다 월세가 낫다’는 발언은 부적절하다고 꼬집었다. 그는 “주택 가격 상황, 부동산 시장이 안정화되면 월세 전환이 빨라진다. 부동산이 계속 상승하면 전세 제도가 유지된다. 왜냐하면 전세자금을 통해서 외입하는 주택의 기대 수익률이 높기 때문에 그런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쉽게 전환은 못하는 게 지금 최근에 부동산 시장이라는 게 박근혜 정부 때 빚내서 집 사라고 해서 집을 많이 빚내서 샀던 측면들이 작용을 한 거다. 이제 이분들이 사실은 빚내서 집을 사놓은 상태기 때문에 이것을 예를 들어서 전세에서 월세로 전환하려고 하면 전세보증금을 돌려줘야 한다. 그러면 자기가 100% 현금을 가지고 있어서 돌려줘야 되는데 그렇게 현금 보유를 가지고 있는 분들이 많지 않다. 그러면 다른 방법은 대출을 받아서 전세보증금을 돌려주고 월세로 돌려야 되는데 지금은 다주택자의 경우에는 대출규제가 굉장히 강해졌기 때문에 대출을 통해서 전세보증금을 돌려줄 가능성이 별로 없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