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심근경색 환자 10만 명 돌파, 서구화된 생활습관이 주 원인
급성심근경색 환자는 매년 5~10%가량 증가하며 급격히 늘고 있다. 지난 5년간 급성심근경색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2015년 8만7,984명에서 2019년 11만8,010명으로 10만 명을 넘어섰다. 조상호 교수는 “혈관 건강은 생활습관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식생활의 서구화 및 인구의 고령화로 고혈압, 당뇨 등 만성질환자가 증가하면서 혈관에 콜레스테롤이 쌓이는 환자가 많아졌다. 심근경색 환자 는 병원에 도착하기 전 사망하는 경우가 많고, 병원에서 치료를 받아도 4% 가 사망한다고 알려질 만큼 위험하므로 평소의 관리도 매우 중요한 질환이다”고 설명했다.
◇시술과 수술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 심근경색 치료
심근경색을 치료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스텐트 삽입은 중재적 시술치료로 허벅지나 손목에 있는 동맥으로 가는 관을 넣어 좁아진 혈관을 풍선을 이용해 확장하고 스텐트를 삽입하는 방법이다. 수술에 비해 전신 마취가 필요 없고, 시간이 1~2시간 이내이며, 기술의 발전과 함께 최근 많이 시행되는 시술이다. 관상동맥우회술은 막힌 부위 뒤쪽으로 피가 잘 흐를 수 있도록 새로운 혈관을 연결해 주는 수술이다. 흉골 가장자리 안쪽의 내유동맥이나 상지의 요골동맥, 하지의 복재정맥 등 없어도 신체에 큰 문제가 없는 혈관을 찾아 떼어내 우회길을 만들어주는 수술법이다.
스텐트 시술과 관상동맥우회술 모두 장단점이 있어 우열을 가리기는 어렵다. 다만 △관상동맥 3개 중 여러 혈관에 협착이 있거나 △한 개의 혈관이라도 중요한 부위에 심각한 협착이 있는 경우, △재협착률이 높은 부위가 막힌 경우, △과거 스텐트 치료를 했는데 재발했거나, 스텐트를 시도했지만 기구가 들어가기 어려운 위치에 병변이 존재하는 경우, △당뇨가 매우 심해 혈관 변성이 광범위한 경우, △ 심근경색 합병증이 동반된 경우 등에서는 관상동맥우회술이 권고된다. 실제로 관상동맥 3개에 모두 문제가 있는 삼중혈관질환 환자는 수술로 치료해야 5년 생존율이나 합병증 발생 위험 등에서 예후가 더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존 수술 한계 뛰어넘은 무심폐기 관상동맥우회술
예전에는 관상동맥우회술을 인공심폐장치를 이용, 체외순환을 통해 심장을 정지시키고 수술을 진행했다. 하지만, 인공심폐장치 가동과 이에 따른 심장정지에는 전신 염증반응이나 수술 후 출혈 등 여러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최근에는 인공심폐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심장이 뛰는 상황에서 수술하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이를 무심폐기 관상동맥우회술(OPCAB, off-pump CABG, OPCAB)이라 부른다. 이는 움직이는 심장의 미세혈관을 접합해야하기 때문에 경험이 많고 실력이 뛰어난 흉부외과 의사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협심증과 증상 비슷, 5분 이상 가슴통증 지속되면 의심
◇수술 후에도 금연, 금주, 운동 등 생활습관 개선해야 재발 막아
혈관 건강은 생활습관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아무리 관상동맥우회술을 받아도 술, 담배, 과식, 운동부족 같은 생활습관을 바꾸지 않으면 우회한 혈관에 다시 콜레스테롤이 쌓여 심근경색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생활습관 개선이 필수다. 이를 위해 금연, 금주는 물론이고 퇴원 직후부터 운동을 시작하는 것이 좋다. 운동은 심장 기능 회복에 도움이 되며, 혈관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몸에 무리가 가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주일에 최소한 3회 이상, 1회에 20분 이상 걷기부터 시작해 점차 강도를 높이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