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근자의 평균 출·퇴근 소요시간은 올해 6월 기준 72.6분으로, 퇴근(37.9분)이 출근(34.7분)보다 3.2분 더 걸리는 것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에서는 평균 83.2분 소요돼 타 지역에 비해 가장 오래 걸렸고, 강원권은 52.1분으로 가장 짧았다. 연령별로는 30세 미만이 75.5분으로 가장 길었고, 50대(71.2분)와 60대(69.1분)로 갈수록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남성의 통근 소요시간은 75.6분으로 여성(67.9분)보다 7.7분 더 소요됐다.
여성 통근 근로자 비중은 39%로 대부분 연령대에서 남성의 3분의 2 수준이지만, 30세 미만은 49.4%로 유독 컸다. 20~30대 젋은 통근자 비율은 수도권(31.1%)에서, 60대 이상 통근자 비율은 강원권(25%)에서 가장 높았다.
근무지에서 체류하는 시간은 평균 9.3시간으로, 30~50대가 9.5시간으로 가장 길고 60대가 8.7시간으로 제일 짧았다. 지역별로는 충청권(9,5시간)이 최장 시간이고 제주(9.1시간)가 최단 시간이었다. 남성(9.6시간)은 여성보다 약 50분 오래 체류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
1인가구 통근자의 근무지 체류시간은 평균 9.4시간으로 다인가구에 비해 약 6분 많았다. 여성으로만 보면 1인가구 통근자는 9시간 체류해 다인가구 통근자보다 약 10분 오래 머물렀다. 대부분의 연령에서 1인가구 통근자가 다인가구에 비해 근무지에 오래 있었으나, 50대는 다인가구 통근자가 더 긴 시간 머물렀다.
거주지에서 동일지역으로 통근하는 사람의 비율은 세종이 56.8%로 최소였다. 이어 인천(68.7%), 경기도(74.7%), 서울(81.4%) 등이 뒤따랐다. 수도권의 주요 근무지역은 △서울 강남구(6.5%) △경기 화성(4.6%) △경기 성남(4.1%) △서울 중구(3.7%) △서울 서초구(3.6%) 순이며, 상위 5개 시군구가 전체의 22.6%를 차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