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의 주택구입부담지수는 지난 2021년 4분기(83.5) 사상 처음으로 80을 돌파하면서 전 고점이었던 2008년 2분기(76.2)를 뛰어넘었다. 이어 지난해 1분기 84.6, 2분기 84.9에 이어 3분기 89.3까지 네 분기 연속 사상 최고를 경신했다.
주택구입부담지수는 중간소득가구가 표준대출을 받아 중간가격 주택을 구입하는 경우의 상환부담을 나타내는 지수다. 지수가 낮을(높을)수록 주택구입부담이 완화(가중)됨을 의미한다.
주택담보대출 상환으로 가구소득의 약 25%를 부담하면 주택구입부담지수는 100으로 산출된다.
한국부동산원의 아파트시세(2012년 12월까지는 국민은행의 ‘KB아파트 시세)와 통계청 가계조사 및 노동부의 노동통계조사, 한국은행의 신규 취급 예금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 등을 토대로 지수를 계산한다.
이는 서울의 중간소득 가구가 지역의 중간가격 주택을 구입하려면 소득의 절반이 넘는 54%를 주택담보대출 원리금 상환으로 부담해야 한다는 의미다.
통상 서울의 경우 주택부담지수 130∼140(소득에서 주담대 상환 비중 33∼35%)선을 주택구매가 가능한 적정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다.
전국과 서울의 주택구입부담지수가 상승한 것은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한 주담대 상환 부담이 커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해 1∼11월 4.89% 내려 2012년 1∼11월(-6.05%) 이후 가장 많이 떨어졌다.
반면 한국은행 기준금리는 지난 2021년 8월 이후 지난해 11월까지 약 1년 3개월 동안 연 0.5%에서 3.25%로 2.75%포인트 뛰었다.
예금은행 주담대 금리(신규취급액 기준·가중평균) 역시 2021년 8월 2.88%에서 지난해 11월 4.74%로 1.86%포인트 상승했다. 일반 신용대출 금리는 같은 기간 3.97%에서 7.85%로 3.88%포인트 급등했다.
주금공 관계자는 “3분기 전국 중위주택가격은 전분기 대비 1.2% 하락하고 중위가구소득은 0.2% 상승했다”면서도 “대출금리 수준이 18.6% 상승하면서 전국 주택가격부담지수가 4.4포인트 상승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