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부동산 경기 호전만 바라보는 ‘천수답(天水畓)’ 주택사업에서 벗어나야 한다. 신규 수요를 발굴하기 위해 고객 맞춤형 상품을 만들어야 한다.
또 해외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단순 도급공사에 머물러서는 안된다. 선진 기술을 확보해 직접 투자와 운영까지 함께 할 수 있는 역량을 길러야 한다. 아울러 신사업에서 수익을 낼 수 있도록 사업 영역을 확대해야 한다.
국내 주택, 몸집 줄이고 선별 수주해야
주택시장 일각에서 ‘바닥론’이 나오고 있지만 시장 불확실성은 여전히 크다. 무턱대고 나섰다가는 미분양 덫에 걸려 존폐 기로에 놓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단은 주택사업을 축소하고 수익성을 갖춘 공사를 선별해 수주하는 것이 필요하다.
비교적 안정적인 분야로 꼽혔던 재개발·재건축 사업 역시 집값 하락과 소형 평형 확대 등으로 수익성이 떨어진다. 강남 등 입지가 뛰어난 곳이 아니면 사업성을 담보할 수 없는 것이다.
해외서 살아남으려면 단순시공 탈피해야
해외시장 전략에도 변화가 필요하다. 글로벌 경기 침체로 해외 발주 공사의 이윤이 박해지는 상황에서 단순 시공만으로는 ‘적자 공사’를 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우선 연구개발(R&D) 투자를 늘려야한다. 국내 건설사들이 총 매출액에서 R&D에 투자하는 금액 비중은 평균 1% 안팎에 그친다. 그나마 재무 구조가 나은 대형사들은 R&D 투자 여력이 있지만 중견 건설사는 여유가 없는 형편이다.
손옥주 국토해양부 연구개발담당관은 “해외 건설시장에서 우리 건설업체들이 연간 700억 달러에 이르는 외화를 벌어오고 있지만 부가가치가 낮은 단순시공 위주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며 “적극적인 R&D 투자를 통해 부가가치를 키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사업 뛰어들 땐 돌다리 두드려라
건설사들이 민자발전(IPP·Independent Power Plant)과 같은 신사업에 적극 진출해야 한다는 것도 전문가들의 공통적인 지적이다. 민자발전은 민간 투자자를 모집해 발전소를 지은 뒤 20~30년간 소유, 운영하면서 전력을 판매해 투자비를 회수하는 방식의 사업이다. 초기 투입되는 비용은 많지만 발전소 사용 연한만큼 안정적으로 매출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김민형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민자발전은 사업기간이 긴 만큼 사업성에 대한 철저한 분석이 필요하다”며 “특히 태양광 사업 등 새로 개척하는 분야라면 기술을 철저히 습득하고 향후 시장성 등도 꼼꼼하게 따진 뒤 사업에 도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