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일 이데일리가 임대주택 등록 사이트인 ‘렌트홈’을 전수조사한 결과 서울시에 현재 등록된 임대주택은 39만4599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단독주택 △오피스텔 △도시형생활주택 △다가구주택을 모두 포함한 것이다.
이 중 아파트는 7만8655가구에 불과했다.
특히 실수요자가 선호하는 전용 60㎡이상 아파트 임대주택은 2만8183가구 정도다. 전체 임대주택의 7% 수준에 불과한 셈이다. 송파구가 2072가구로 가장 많았고 △강남구 2043가구 △구로구 1919가구 △양천구 1683가구 △노원구 1644가구 순으로 집계됐다. 가장 적은 곳은 종로구로 279가구다.
오히려 임차인의 비용 부담이 커지는 등 주거 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등록 임대주택은 지난해 7월 전월세상한제가 시행되기 전부터 최장 10년간 임대료 인상 5% 제한이 적용되고 있어 상대적으로 저렴한 상황이다. 하지만 앞으로 임대사업자 제도가 폐지되면 당장 세입자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
자진말소 혜택이 전무한데다 오히려 등록말소 후 6개월 내 주택을 처분하지 못할 경우 세부담이 더욱 커지게 된다. 임대사업자로서는 임대기간을 모두 채우는 것이 여러모로 유리하다. 이르면 2022년 말소 시점이 도래하는 현재 서울 내 4년 단기임대주택의 경우 전용 60㎡ 이상 아파트는 7018가구 정도다. 85㎡ 이상의 경우 2089가구로 그 규모가 급격하게 쪼그라든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다세대·다가구 임대주택은 집값 상승과는 큰 관계가 없는 대신 대다수 노후 소득 목적의 서민 생계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면서 “문재인 정권 초기 각종 세제 혜택 등을 통해 임대사업자 등록을 장려했다가 갑자기 집값 상승의 주범으로 몰아가고 있다. 부동산 정책의 신뢰성과 일관성이 훼손됐다”고 지적했다.